https://v8.dev/blog/json-stringify
ChatGPT 요약
주요 최적화 전략
1. Side‑Effect‑Free Fast Path (사이드 이펙트 없는 고속 경로)
-
JSON.stringify
실행 중 부수 효과(side effects) — 예를 들어 사용자 정의 코드 실행이나 가비지 컬렉션을 유발하는 내부 작업 — 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훨씬 빠른 전용 경로를 사용합니다. -
이 경로는 반복적(iterative) 구조로 구현되어 있기에, 재귀 사용 시 필요한 스택 오버플로우 검사 등을 줄일 수 있고, 깊은 중첩 객체도 안전하게 직렬화할 수 있습니다.
2. 문자열 표현별 특화 구현
-
V8 내부에서는 문자열이 ASCII만 포함된 경우 1바이트, 한 글자만 비-ASCII여도 전체가 2바이트로 메모리 이용됩니다.
-
이를 고려해 1바이트 전용 문자열 처리기와 2바이트 전용 처리기를 각각 컴파일해 두었고, 적절한 시점에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3. SIMD 기반 문자열 이스케이프 검사
-
JSON 직렬화 시 자주 등장하는 이스케이프 대상 문자(
"
,\
등)를 찾기 위해:-
긴 문자열: SIMD 하드웨어 명령어(예: ARM64 Neon)를 활용해 여러 문자를 한 번에 검사
-
짧은 문자열: SWAR 방식(SIMD Within A Register)으로 일반 레지스터에서 비트 조작으로 병렬 검사 수행
-
-
이 방식 덕분에 특수 문자가 없다면—종종 있는 경우—문자열 전체를 단순히 복사만 해도 되므로 매우 빠릅니다.
4. Express Lane (익스프레스 레인)
-
고속 경로 내부에서도, 일반적인 속성 순회 절차를 또 일부 간소화하는 **더 빠른 “익스프레스 레인”**이 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기본은 키가 문자열이어야 하고 심벌(Symbol)이 아닌 등 일반적인 조건에 부합할 때 적용됩니다.
제한 사항
-
replacer
나space
옵션 사용 시에는 고속 경로를 이용할 수 없고, 느린 일반 경로로 처리됩니다. -
객체나 배열에 커스텀
.toJSON()
메서드가 있거나, 숫자 인덱스형 속성이 존재하는 등의 경우에도 일반 경로로 처리됩니다. -
문자열 타입이 복잡한 내부 표현(예:
ConsString
)을 사용하는 경우도 일반 경로로 넘어갑니다.
요약
V8는 JSON.stringify
를 평균적으로 두 배 이상 빠르게 만들기 위해, 부수 효과 없는 경우에만 작동하는 고속 경로, 문자열 데이터 타입에 맞춘 특화 구현, 그리고 SIMD 기반 처리 등의 최적화 전략을 도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직렬화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고, 특히 일반적인 단순 데이터 객체의 경우 훨씬 더 빠르게 직렬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차 출처: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44786005
2차 출처: https://news.hada.io/topic?id=22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