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OBG
조회 수 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www.kcmi.re.kr/report/report_view?report_no=1795

https://www.kcmi.re.kr/flexer/view?fid=27089&fgu=002002&fty=004003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사람들이 있을까봐 2024년 8월 2일 자료 가져옴

 

Gemini 요약

 

Ⅰ. 검토 배경 및 해외증권투자 확대 요인

 

  • 투자 규모 급증: 2010년 초 1,000억 달러 수준이던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 규모는 2023년 말 8,573억 달러로 약 9배 증가했습니다. 이는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규모(9,520억 달러)에 거의 육박하는 수준입니다.

  • 주요 확대 요인:

    • 경상수지 흑자 기조 지속에 따른 잉여 외화유동성 증가.

    • 국내 저성장·저금리 기조 심화와 상대적으로 부진한 국내 주식시장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투자수익률 제고 필요성이 커짐. (미국 등 선진국 주가 상승률이 국내보다 높았음)

    •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 정책 (2015년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 발표, 해외주식형 펀드에 대한 세제 혜택 등).

  • 긍정적 영향: 대외 부문을 통한 안정적인 수익 창출 (이자 및 배당 소득) 및 일시적 외화유동성 부족에 대한 안전판 역할 (대외금융자산 축적).

  • 외환시장 영향 우려: 해외증권투자 확대는 외환수요를 발생시켜 원화 환율 상승 압력을 가중시키며, 특히 국민연금의 투자 확대가 환율 및 물가 상승 압력에 영향을 준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합니다.


 

Ⅱ. 해외증권투자 현황 및 특징

 

 

1. 투자 형태별 규모 (2023년 말 기준)

 

  • 해외주식: 6,235억 달러 (72.7%)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

  • 해외채권: 2,338억 달러 (27.3%).

 

2. 투자 주체별 특징

 

투자 주체 주요 특징
일반정부 (국민연금 포함) 해외주식 투자 비중이 훨씬 크며, 국민연금(NPS)이 단일기관으로서 전체 해외투자의 **35.6%**를 차지하는 가장 큰 비중을 점유.
자산운용사 기타 부문 중 가장 큰 규모이며, 해외주식 위주 투자(69.2%). 정부의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성장.
보험사 해외채권 투자 비중이 87.1%로 매우 높음. 저금리 역마진 완화 및 자산-부채 듀레이션 갭 축소가 목적. 최근 환헤지 비용 상승으로 채권투자 감소 추세.
개인투자자 최근 급속히 증가하여 민간 부문의 20% 내외를 차지. 공격적인 투자 성향을 보이며 외환수요 압력을 증가시킬 잠재력 있음.

 

3. 주요 특징 요약

 

  • **공적기관(국민연금)**의 투자 비중 확대 및 속도 증가.

  • 환헤지를 고려하지 않는 해외주식 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고 확대 추세. 대형 기금(국민연금 등)은 해외채권 투자 시에도 환헤지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보험사는 환헤지 동반 해외채권 투자를 주로 하나, 최근 환헤지 비용 상승으로 투자 감소.

  • 개인투자자의 공격적 해외증권투자 규모 급증.


 

Ⅲ. 해외증권투자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실증 분석 결과)

 

보고서는 투자자들의 환헤지 여부에 따라 현물환시장과 외환스왑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에 주목하고 분석했습니다.

 

1. 실증 분석 결과 (회귀분석 및 VAR 모형)

 

투자 형태 외환시장 영향 경로 영향 방향 및 유의성
해외주식투자 현물환시장 (환헤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원/달러 환율 상승에 뚜렷하고 유의한 영향.
해외채권투자 외환스왑시장 (환헤지 관행에 따라) 스왑레이트 하락에 유의한 영향. (외환스왑시장 외화수요 증가)
해외채권투자 현물환시장 (대형 기금의 비-환헤지 영향 및 간접 경로) 원/달러 환율 상승에 유의한 영향.
  • 결론: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주식 및 채권 모두)는 원/달러 환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며, 해외채권투자는 환헤지 수요로 인해 스왑레이트 하락 압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Ⅳ. 시사점

 

  1. 대외안전성 개선 및 관리: 해외증권투자 확대는 외환 부족국가 상황에서 벗어났음을 의미합니다. 향후 공적 외환보유액 확충보다는 민간 부문 보유 외환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2. 환율 상승 압력 유의: 지속적인 해외증권투자 확대는 원화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므로, 정책 당국은 환율 안정 노력에 유의해야 합니다. 다만, 이는 환율의 하방 경직성을 강화하여 향후 원화 환율 하락 압력을 완화하는 순기능도 기대됩니다.

  3. 기관의 환헤지 전략 정비: 국내 기관들은 환율 급등 시 외화 조달 시기를 탄력적으로 조절하고, 투자 성격에 맞는 효율적인 환헤지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4. 제도 개선: 해외증권투자는 소득수지 흑자 및 외화유동성 악화 시 안전판 역할을 하는 등 거시적 긍정 효과가 크므로, 당국은 투자자의 외환 매입 관련 시장 인프라 및 제도적 개선 사항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민간 및 공공 부문에서 해외투자가 늘어나면서 **외환시장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환율 및 스왑레이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투자 우리나라의 해외증권투자 현황과 외환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 OBG 2025.11.25 88
402 투자 모뉴엘 사태 OBG 2025.11.25 93
401 투자 미국 주식 옵션 A to Z [미국주식옵션스쿨 몰아보기] OBG 2025.11.14 354
400 IT 5년 만에 15배 성장, 듀오링고는 본능을 마케팅으로 바꿨다. OBG 2025.11.14 306
399 IT 책상 위 슈퍼컴퓨터 등장? "NVIDIA DGX Spark" 이게 진짜 AI PC다 OBG 2025.11.14 485
398 투자 주가 급등에도 원화가치 급락…원·달러 1440원 넘을 수도 OBG 2025.10.15 2283
397 IT 삼성이 AI 판을 뒤집었다 (초소형 모델 TRM) OBG 2025.10.15 921
396 투자 MS, 딥시크 50분의 1 크기로 성능 추월...AI '가성비' 전쟁 OBG 2025.09.15 1165
395 투자 ELD가 뭐고 ELS랑 뭐가 달라요? 예금 + α 핵심만 쉽게 정리 (2025) OBG 2025.08.28 1474
394 투자 구글 딥마인드 CEO “AI, 10년 내 모든 질병 종식 가능하다” OBG 2025.08.22 1131
393 투자 컬리는 어떻게 10년만에 적자를 탈출했을까? OBG 2025.07.02 1674
392 투자 메가커피 급성장의 비결은? (2021) OBG 2025.06.14 2680
391 투자 '우물안' 정부…2000조 미래산업 싹 잘랐다 (자율주행) OBG 2025.05.22 2574
390 투자 아파트 멀리보기 - 현대차증권 (2025.03.07) OBG 2025.05.21 2477
389 시사 국민연금 지속가능성 위해 자동조정장치 필요 OBG 2025.03.20 2206
388 투자 주거지역에도 종류가 있다? 주거지역 종류와 차이점을 한눈에! OBG 2025.02.14 1399
387 시사 내란죄 수사권·영장 논란 총정리 - 누구 말이 맞을까? OBG 2025.01.19 4287
386 투자 엔비디아 매수하고 340배 만든 사람 OBG 2025.01.14 1948
385 투자 'QuBit - P2QRH 지출 규칙'을 제안하는 비트코인 개선 제안서 (BIP-360, 양자 저항 암호) OBG 2024.12.29 1983
384 투자 뚜레쥬르 창업비용 OBG 2024.12.10 197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