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ithub.com/github/spec-kit
Github 요약
개요 (What is Spec-Kit)
- 
	“Spec-Driven Development”을 지원하기 위한 툴킷(toolkit)임.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를 먼저 쓰고 나중에 문서화하는 방식을 바꾸어, 명세(specification)가 “실행 가능(executable)”하고 구현(implementation)을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즉, 명세를 단순 가이드가 아니라 실제 개발의 중심으로 삼음. 
주요 기능 및 워크플로우 (Key Features & Workflow)
- 
	Specify CLI라는 커맨드라인 도구 제공
- 
	주요 커맨드 예: - 
		specify init: 새로운 프로젝트 초기화
- 
		check: 필요한 도구(예: Git, AI 에이전트, 코드 편집 도구 등)가 설치됐는지 점검함
 
- 
		
- 
	프로젝트 초기화 시, 프로젝트 템플릿이 생성됨; 사양(spec), 계획(plan), 작업(tasks) 템플릿들이 포함됨. 
철학과 개발 단계 (Philosophy & Development Phases)
- 
	핵심 철학(Core Philosophy): - 
		의도 중심 개발(intent-driven development): 무엇을 만들 것인가(what) 먼저 정의, 기술적 방식(how)은 이후 결정 
- 
		명세(specification)의 질을 높이기 위해 guardrail 및 조직적 원칙 사용 
- 
		코드 생성이나 구현을 한 번에 끝내기보다 여러 단계(multi-step refinement)를 거침 
- 
		AI 모델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명세 해석 등을 수행함 
 
- 
		
- 
	개발 단계(Development Phases): - 
		0-to-1 Development (“Greenfield”): 완전히 새로운 것을 처음부터 만듦. 높은 수준의 요구 spec 생성 → 계획 수립 → 실제 제품 수준의 구현 
- 
		Creative Exploration: 다양한 솔루션이나 기술 스택, 아키텍처, UX 패턴 등을 실험함 
- 
		Iterative Enhancement (“Brownfield”):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거나 기능을 추가, 점진적으로 현대화(modernization)함 
 
- 
		
실용적 요구사항 및 전제조건 (Prerequisites)
- 
	운영체제: Linux, macOS 혹은 Windows의 WSL2 환경 
- 
	AI 코딩 에이전트: Claude Code, GitHub Copilot, Gemini CLI, Cursor 등 하나 이상 이용 가능해야 함 
- 
	Python 3.11 이상 
- 
	Git 및 기타 CLI 도구들 
기타 특징들 (Other Details)
- 
	MIT 라이선스 
- 
	템플릿, 명세 문서, 작업(tasks) 문서, 계획(plan) 문서 등의 구조가 갖춰져 있음 
- 
	GitHub 상에서 활동 중이며 스타(star) 수, 포크(fork) 수가 많고 커뮤니티 피드백 이슈(pull requests, issues) 등이 존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