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25.08.07 16:23

모던 Node.js 패턴 (2025)

OBG
조회 수 14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kashw1n.com/blog/nodejs-2025/

 

ChatGPT 요약

 

주요 변화 및 특징

  1. 모듈 시스템: ESM 도입 및 node: 접두어 활용

    • 과거 CommonJS(require/module.exports)에 대한 대안으로 ES Modules(ESM)을 표준으로 채택. 정적 분석, 트리 쉐이킹 등이 가능해짐.

    • 내장 모듈 불러오기에는 node: 접두어를 사용해 의존성을 명확히 구분.

  2. Top-Level Await 지원

    • 별도 래퍼 함수 없이 파일 최상단에서 await 사용 가능. 코드 초기화가 더욱 간결하고 직관적.

  3. 내장 웹 API 도입 — Fetch & AbortController

    • HTTP 요청을 위해 더 이상 axios나 node-fetch 등이 필요 없으며, fetch가 기본 내장됨.

    • AbortSignal.timeout() 등 타임아웃 및 요청 취소 기능도 내장되어 있어 외부 의존성을 줄임.

  4. 내장 테스트 러너 제공

    • Jest, Mocha 대신 Node 자체적으로 테스트 기능 제공. node --test, --watch, 커버리지 리포트 등 지원.

  5. 향상된 비동기 패턴 (Async/Await & Async Iterators)

    • Promise.all()을 통한 병렬 처리와 세부적인 에러 로깅 지원.

    • async iterator를 활용해 이벤트 흐름을 async/await 문맥에서 자연스럽게 처리 가능

  6. 스트림과 웹 스트림 간 호환성 강화

    • node:stream 기반의 스트림 처리에 promise 기반 pipeline, Web Streams과의 상호 변환 기능 강화

  7. 워커 스레드를 통한 병렬 처리

    • CPU-intensive 작업은 워커 스레드를 통해 메인 스레드를 블로킹하지 않고 병렬 처리 가능

  8. 개발자 경험 향상: --watch, --env-file

    • nodemon, dotenv 없이도 실시간 리로드와 환경 변수 자동 로드 지원. 개발 프로세스 간소화

  9. 보안 및 성능 도구 내장

    • 실험적 권한 모델로 파일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접근 제한 가능.

    • node:perf_hooksdiagnostics_channel을 통한 퍼포먼스 모니터링 및 진단 채널 제공

  10. 배포 단순화: 단일 실행 파일 번들링

    • 실행 파일 형태로 포장된 앱 배포 가능. 별도의 Node.js 설치 없이도 실행

  11. 현대적 패키지 관리 및 모듈 해석

    • Import Maps과 내부 패키지 해석 강화.

    • 동적 import()로 조건별 코드 로딩 및 코드 분할 지원


결론 및 시사점

이 글을 통해 드러난 Node.js의 변화는 단순 기능 추가를 넘어 개방성, 성능, 생산성, 보안성을 모두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 웹 개발자에게 친숙한 API들이 내장되면서 환경 간 일관성이 커졌고,

  • 외부 라이브러리 의존성과 설정 부담이 줄어들어 개발 환경이 더 심플해졌습니다.

기존 프로젝트에도 점진적으로 이러한 패턴을 도입할 수 있으며, 새로운 프로젝트라면 기본 가이드라인으로 삼기에 충분합니다.

 

 

출처: https://news.hada.io/topic?id=22326

?

  1. Programming 게시판 관련

    Date2014.11.01 CategoryTool/etc ByMoA Views21741
    read more
  2. 모던 Node.js 패턴 (2025)

    Date2025.08.07 ByOBG Views1432
    Read More
  3. AI가 만든 코드, 결국엔 모두 레거시가 된다?

    Date2025.08.12 CategoryLLM ByOBG Views1912
    Read More
  4. OpenAI의 gpt‑oss‑120b, gpt‑oss‑20b: 개인 컴퓨터에서 ChatGPT 사용?

    Date2025.08.12 CategoryLLM ByOBG Views1912
    Read More
  5. Omarchy, DHH가 만든 Linux 배포판

    Date2025.08.12 ByOBG Views2738
    Read More
  6. ChatGPT가 7억 명을 서비스할 수 있는데, 나는 왜 GPT-4 하나도 로컬에서 못 돌릴까?

    Date2025.08.12 CategoryLLM ByOBG Views2052
    Read More
  7. OpenAI의 새로운 오픈소스 모델은 사실상 Phi-5임

    Date2025.08.12 CategoryLLM ByOBG Views1729
    Read More
  8. Build a Small Language Model (SLM) From Scratch

    Date2025.08.16 CategoryLLM ByOBG Views1758
    Read More
  9. Kimi K2 클로드 코드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

    Date2025.08.28 CategoryAgent ByOBG Views1557
    Read More
  10. I Want Everything Local — Building My Offline AI Workspace

    Date2025.08.28 CategoryDeeplearning ByOBG Views1616
    Read More
  11. Vibe Code an MVP Web App

    Date2025.08.28 CategoryAgent ByOBG Views1506
    Read More
  12. 코딩 에이전트 만드는 법

    Date2025.08.28 CategoryAgent ByOBG Views1667
    Read More
  13. Claude Code를 최고의 설계 파트너로 만들기

    Date2025.08.28 CategoryAgent ByOBG Views1608
    Read More
  14. llama.cpp gpt-oss-120b 5090으로 돌려본 후기

    Date2025.09.07 CategoryLLM ByOBG Views1343
    Read More
  15. 구글 개발자가 말하는 나노바나나의 진짜 실체

    Date2025.09.07 CategoryLLM ByOBG Views1244
    Read More
  16. 나노바나나 공식 출시! 구글 제미나이에서 직접 사용하는 방법

    Date2025.09.07 CategoryLLM ByOBG Views1316
    Read More
  17. VIM Master - Vim 명령어를 배우는 가벼운 브라우저 게임

    Date2025.09.07 CategoryTool/etc ByOBG Views1446
    Read More
  18. Show GN: 유튜브 영상/웹페이지를 10초만에 구조화된 노트로 만드는 크롬 확장프로그램

    Date2025.09.07 CategoryTool/etc ByOBG Views1426
    Read More
  19. Spec Kit(Spec-Driven Development)

    Date2025.09.15 CategoryAgent ByOBG Views1261
    Read More
  20. 초보를 위한 Claude Code 안내서

    Date2025.09.15 CategoryAgent ByOBG Views1312
    Read More
  21. 알아두면 유익한 2019 개발이야기

    Date2025.09.15 CategoryWeb ByOBG Views117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