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FTP서버 active, passive mode

by 비지 posted May 05,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본적으로 FTP서버에 대해서 알아야할 사항이 있습니다.

1. FTP는 두개의 PORT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는 COMMAND PORT이며, 다른 하나는 DATA PORT입니다.

2. FTP는 TCP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UDP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위의 두 가지 사항을 토대로 두가지 모드의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차이점 중 눈여겨 볼 사항으로는 데이터전송 포트부분전송방향에 대한 부분입니다.

 

 

1. ACTIVE mode

 

전통적으로 21번 port를 server ftp port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command를 위한 port이고

실제 data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data전송을 위한 port를 사용합니다.

보통 data전송 port는 20번 port를 사용합니다.

 

클라이언트는 1024번 이상의 빈 port를 골라서 command port로 사용하고

해당포트에 +1을 더한 port를 data port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 클라이언트가 서버 ftp에 접속하려고 1080번 port를 이용하여 서버 ftp에

   접속 요청을 날립니다. 이때 +1더한 1081번 port의 정보를 같이 서버에 보냅니다.

2. 서버 ftp의 21번 포트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하고 21번 command port는

   1080번과 20번 data port는 1081번과 connection을 맺습니다.

3.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로 해당 데이터를 넣어줍니다.

 

 

2. PASSIVE mode

 

passive mode 일때 서버의 command port는 21번이며

data port는 1024번 이상의 사용하지 않는 port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클라이언트는 1024번 이상의 빈 port를 골라서 command port로 사용하고

해당포트에 +1을 더한 port를 data port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 클라이언트가 서버 ftp에 접속하려고 1080번 port를 이용하여 서버 ftp에

   접속 요청을 날립니다. 이때 +1더한 1081번 port의 정보를 같이 서버에 보냅니다.

2. 서버 ftp의 21번 port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하고 21번 command port는

   1080번과 connection을 이루며

   서버측의 1024이상의 빈 port와 클라이언트의 1081번 port와 connection을 맺습니다.

3.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

 

위의 내용을 보시면 active mode의 경우 

서버가 ->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넣어주고

 

passive mode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간혹 active mode로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passive로 하라고 하는데

active mode의 경우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접속을 하는 방식이니까

 

[서버] --> [클라이언트쪽 방화벽(필터링:대부분 80port 만 허용)] -->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앞에 방화벽이 있다면 접속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passive mode의 경우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을 하니

클라이언트의 방화벽과는 무관하게 접속이 잘이루어 집니다.

 

간혹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ftp에 접속하면 잘 되는데

브라우저로 ftp서버에 접속하면 잘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브라우저의 default 방식이 passive mode 방식이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default 방식이 active mode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서버측 입장에서는 passive mode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도 passive mode를 꺼두는 경우가 많은데

해킹의 위협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접속할때는 위험이 적지만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직접 접속할 때의 위험도는 상당히 커지기 때문입니다.

 

 

위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그림은

http://slacksite.com/other/ftp.html

해당 페이지를 보시면 더욱 자세히 알수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minminmang?Redirect=Log&logNo=50070928500


Articles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