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사람은 언제 추위를 느끼는가

by 모아레 posted Dec 26,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진지잠깐 먹자면
사람이 느끼는 것은 온도차가 아닙니다. 열전달량입니다.
일례로 아주 뜨거운 냄비에 손을 아주 잠깐 댔다가 빼면 뜨겁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잡고 있으면 뜨거움을 느끼죠.
똑같은 온도차(냄비온도 - 체온)이지만 전달된 열량은 다르죠.

또다른 예로는 사우나의 경우 건식과 습식이 있습니다.
건식의 경우 섭씨 90도 ~ 100도가 넘는 곳도 있습니다.
습식의 경우 섭씨 60도 ~70도정도죠.
목욕탕의 열탕의 경우 섭씨 50도 내외죠.
뭐가 뜨겁게 느껴지나요? 비슷한가요?
이때는 공기만 있는 건식과 2상 혼합 상태인 습식의 차이입니다.
물이 공기보다 열용량이 더 크므로 습식이 온도가 낮아도 비슷하게 덥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습식이 90 ~ 100도면? 혹은 열탕이 90 ~ 100도라면?
화상입습니다...

사람이 추위를 느끼는 것은 몸에서 발열량보다 밖으로 나가는 방열량이 많아서 그렇습니다.
추위를 느끼지 않으려면 나가는 열량을 붙잡거나 발열량을 늘여줘야겠죠.
예를 들어 옷을 입는 것이 전자이고 난방을 하는 것이 후자입니다.


열전달량 = 온도차/전체열저항 으로 정의됩니다.
이것외에도 다른 정의들이 많지만 이것으로 말하는게 편할 거 같군요.
위에서 열전달량은 사람이 빼앗긴 열량이 되겠군요. 열전달량의 방향은 온도가 낮은 쪽으로 향하니까요. 사람이 입은 옷은 열저항에 해당합니다.

옷을 입었을 경우 온도차가 크지만 열저항도 크고
옷을 벗었을 경우 온도차가 작지만 열저항도 작으므로
뭐 그 크기는 함 따져봐야겠지만 결과적으로 큰 차이가 없이 비슷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이 외부로부터 빼앗기는 열전달량이 급격히 바뀌면 감기몸살에 걸리거든요.

위에 서머셋Ω//님의 생각처럼 영하50도의 대기 -> 약 0도의 물로 갔다고 50배나 따듯해진다는 소리는 말이 안되는 것입니다.


네줄요약: 사람이 느끼는 것은 온도차가 아니고 열전달량을 느끼는 것이다.

열전달적 측면에서 저 사람이 영하50도의 대기에 있으나 약 0도의 물에 있으나 많이 춥지 않을 것이다. 사람이 빼앗긴 열이 어느정도 되어 추위를 느낄경우 당연히 나올 것이다.

영하 50도의 대기에서 얼지않을 물이 무엇일까?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44270&page=1&keyfield=&keyword=&sb=

덧글 중


Articles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