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사자성어

by 모아레 posted Apr 28,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8급)
南男北女(남남북녀) : 우리나라는 남쪽엔 남자, 북쪽엔 여자가 더 잘난 사람이 많다.
三三五五(삼삼오오) : 셋 또는 대여섯이 무리를 지어 다니거나 함께 일을 하는 모양.
十中八九(십중팔구) : 열 가운데 여덟이나 아홉. 거의 예외 없이 그러할 것이라는 추측.

(7급)
見物生心(견물생심) :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김. 무슨 물건이든지 눈에 보이면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三不孝 (삼 불 효)  :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고, 가난 속에 버려두며,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일.
一日三秋(일일삼추) : 하루가 가을의 석 달 같다. 그리워하여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
作心三日(작심삼일) : 지어먹은 마음이 사흘을 못 감. 결심이 굳지 못함.
                    朝變夕改(조변석개). 朝令暮改(조령모개).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6급)
家書萬金(가서만금) : 여행 중에 가인으로부터 서신을 받으면 그 기쁨이 만금을 얻는 데 해당 한다.
各自圖生(각자도생) : 사람은 제각기 살아갈 방법을 도모한다.
敎外別傳(교외별전) : 경전(經典) 바깥의 특별한 전승(傳承). 마음과 마음으로 뜻을 전함.
男兒一言重千金(남아일언중천금) : 남자의 말 한 마디는 천금의 무게를 가짐.
代代孫孫(대대손손) : 대대로 이어오는 자손.
大明天地(대명천지) : 매우 밝은 세상. 크게 밝은 하늘과 땅.
同苦同樂(동고동락) : 괴로움도 함께 하고 즐거움도 함께 함.
東問西答(동문서답) : 물음과 딴 판인 엉뚱한 대답.
門外漢 (문 외 한) : 어떤 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거나 관계가 없는 사람.
白面書生(백면서생) : 글만 읽고 세상일에는 조금도 경험이 없는 사람.
百發百中(백발백중) : 활을 백 번 쏘아 백 번 맞힘. 계획이나 예상 등이 틀림없이 잘 들어맞음.
不立文字(불립문자) : 도는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지 문자로 전하는 것이 아니다.
父子有親(부자유친)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父傳子傳(부전자전) : 대대로 아버지가 아들에게 전함.
事親以孝(사친이효) :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을 이른다.
街談巷說(가담항설) :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街談巷語(가담항어). 道聽塗說(도청도설)
斂誅求(가렴주구) :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들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음.
佳人薄命(가인박명) : 아름다운 사람은 명이 짧다. 여자의 용모가 너무 아름다우면 운명이
                    기박하고 명이 짧다.
刻骨難忘(각골난망) : 은혜가 뼈 속 깊이 새겨져 잊혀지지 않음.
山高水長(산고수장) : 군자의 덕이 높고 끝없음을 산의 우뚝 솟음과 큰 냇물의 흐름에 비유한 말.
山戰水戰(산전수전) : 산에서도 싸우고 물에서도 싸웠다는 뜻으로, 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었음을 이르는 말.
三不幸(삼불행) : 맹자가 말한 불행의 세 가지. 축재에 전념하고, 자기 처자만 사랑하고,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
北堂(북당) : 남의 어머니의 별칭.
三才(삼재) : 만물을 지배하는 세 가지. 天, 地, 人.
先行後敎(선행후교) : 선인의 행위를 들어 후학을 가르침.
水淸無大魚(수청무대어) :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없음. 사람이 너무 결백하면 가까이                          하는 사람이 적음. ↔ 德不孤必有隣(덕불고필유린).
身土不二(신토불이) : 몸과 땅은 둘이 아니다. 우리 농산물을 사랑해야 한다.
樂山樂水(요산요수) : 산과 물을 좋아함. 자연을 사랑함.
月下老人(월하노인) : 부부의 인연을 맺어 주는 중매 장이 노인을 이르는 말. 月下氷人(월하빙인).
有口無言(유구무언) : 입은 있으나 할 말이 없음. 변명할 말이 없음.
以心傳心(이심전심) : 말이나 글을 쓰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서로의 뜻을 전함.
                    不立文字(불립문자). 心心相印(심심상인). 敎外別傳(교외별전).
一字千金(일자천금) : 한 글자의 값어치가 천금이다. 지극히 가치 있는 문장.
一朝一夕(일조일석) : 하루 낮과 하루 밤. 대단히 짧은 시간.
自問自答(자문자답) : 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함.
自由自在(자유자재) : 거침없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음. ≒無窮自在(무궁자재).
電光石火(전광석화) : 일이 매우 빠름.
正正堂堂(정정당당) : 태도나 처지가 바르고 떳떳하다.
重言復言(중언부언) : 한 말을 또 함.
千不當萬不當(천부당만부당) : 천번 만번 부당하다. 아주 부당하다.
靑天白日(청천백일) : 푸른 하늘에 밝은 해. 밝은 대낮. 밝은 세상. 죄의 혐의가 풀리다.
淸風明月(청풍명월) : 맑은 바람과 밝은 달. 풍자와 해학으로 세상사를 비판하는 것.
草綠同色(초록동색) : 풀과 푸름은 같은 색. 같은 처지나 경우의 사람들 끼리 어울려 행동함.
八方美人(팔방미인) : 여러 방면에 능통한 사람. 누구에게나 잘 보이려고 처세하는 사람.
                    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미인.
風月主人(풍월주인)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벗하여 노는 한가한 사람. 자연 풍경을 좋아하는 사람.

(5급)
角者無齒(각자무치) : 뿔이 있는 놈은 이가 없다. 한 사람이 모든 복을 겸하지는 못한다.
客反爲主(객반위주) : 나그네가 도리어 주인이 되다.  사물의 大小, 輕重, 前後을 뒤바꿈.
結草報恩(결초보은) : 죽어 혼령이 되어서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
空前絶後(공전절후) : 비교할 만한 것이 이전이나 이후에도 없을 것으로 생각함.
交友以信(교우이신) : 벗을 사귐에 믿음으로써 함을 이른다.
敎學相長(교학상장) :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 성장함. 스승은 학생에게 가르침으로써 성장하고,                      제자는 스승에게 배움으로써 진보한다는 말.
九十春光(구십춘광) : 봄의 석 달 동안.
落花流水(낙화유수) :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 가는 봄의 정경을 나타내는 말.
                    남녀 사이에 서로 그리워하는 정.
論功行賞(논공행상) : 공의 유무나 대소를 따져 그에 합당한 상을 줌.
能小能大(능소능대) : 모든 일을 임기웅변으로 잘 처리함.
多多益善(다다익선) :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談判(담판) : 어떤 일의 是非를 가리거나 결말을 짓기 위하여 논의하다. 부당한 일에 대하여              강력히 항의하여 시정하도록 하다.
大書特筆(대서특필) : 뚜렷이 드러나게 큰 글씨로 쓰다. 누구나 알게 크게 여론화하다.
到處春風(도처춘풍) : 이르는 곳마다 봄바람. 즉 좋은 얼굴로 남을 대하여 사람들에게 호감을                      사려고 처신하는 사람. 가는 곳마다 기분 좋은 일.
獨不將軍(독불장군) : 혼자서는 장군을 못한다. 저 혼자 잘난 체하며 뽐내다가 남에게 핀잔을  받고 고립된                          처지에 있는 사람. 또는 가장 잘난 체 하며 혼자서 모든 일을 처리하는 사람.
讀書三到(독서삼도) : 책을 읽는 데는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이해해야 한다.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을 잠.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냄.
落落長松(낙락장송) : 가지가 축축 늘어진 오래된 큰 소나무.
亡子計齒(망자계치) : 죽은 자식 나이 세기. 이미 지나간 쓸데없는 일을 생각하며 애석하게 여기다.
明若觀火(명약관화) : 불을 보는 것처럼 명백하거나 분명함.
無所不知(무소부지) : 알지 못하는 바가 없다. 매우 박학다식(博學多識)함.
文房四友(문방사우) : 선비의 방에 있는 네 가지 벗. 종이, 붓, 벼루, 묵.
聞一知十(문일지십) : 한 가지를 들으면 열 가지를 미루어 앎. 매우 총명함.
門前成市(문전성시) : 문 앞이 방문객으로 시장을 이룸.
未亡人(미망인) : 남편이 죽고 홀로 사는 여인.
百年大計(백년대계) : 먼 장래를 내다보고 세우는 계획. 일생의 큰 계획.
百年河淸(백년하청) : 백년이 간들 황하가 맑아질 수 있겠는가? 아무리 오래되어도 이루어지기 어려움.
百聞不如一見(백문불여일견) :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함.
                           무엇이든지 경험해야 확실히 알 수 있음.
百戰老將(백전노장) : 많은 싸움을 치른 노련한 장수. 산전수전(山戰水戰) 다 겪어 여러 가지로                      능란한 사람.
百害無益(백해무익) : 조금도 이로운 것이 없고 해롭기만 하다.
不問曲直(불문곡직) : 굽고 곧음을 묻지 않음. 잘잘못을 따지지 아니하고 다짜고짜 행동함.
夫婦有別(부부유별)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四面春風(사면춘풍) : 도처가 춘풍. 누구에게나 모나지 않게 처세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四通五達(사통오달) : 사방으로 왕래할 수 있는 편리한 곳.
三十六計(삼십육계) : 곤란할 때에는 도망가는 것이 가장 좋다.
生面不知(생면부지) : 태어나서 만나 본 적이 없는 전혀 모르는 사람.
說往說來(설왕설래) : 서로 말이 오고 감. 어떤 일의 시비(是非)를 가리기 위해 옥신각신하다.
歲月不待人(세월부대인) :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세월을 아껴라.
始終如一(시종여일) :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한결같음. 始終一貫(시종일관).
身言書判(신언서판) : 당나라 때, 관리를 뽑는 시험에서 인물의 평가 기준으로 삼았던 용모                       (풍채), 말씨(언변), 글씨(필적), 판단(문리)을 이르는 말.
心心相印(심심상인) : 말없이 마음과 마음으로 뜻을 전함. ?以心傳心(이심전심).
十年知己(십년지기) : 오래전부터 사귀어 온 친한 친구.
安分知足(안분지족) : 자기 분수에 만족하여 다른 데 마음을 두지 아니함.
安心立命(안심입명) : 선원에서, 자신의 불성(佛性)을 깨닫고 삶과 죽음을 초월함으로써 마음의                      편안함을 얻는 것을 이르는 말.
弱肉强食(약육강식) : 약한 것이 강한 것에게 먹힘. 생존 경쟁의 격렬함을 이르는 말.
語不成說(어불성설) :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않음.
利用厚生(이용후생) : 이용은 장인(匠人)이 그릇을 만들고 장사가 재물을 운반하는 것 등이고                      후생은 옷을 입고 고기를 먹어 추위에 떨지 않고 굶주리지 않는 것.
益者三友(익자삼우) : 사귀어 유익한 세 가지 벗. 곧 정직한 벗. 신의가 있는 벗.
                    지식이 많은 벗. ↔ 損者三友(손자삼우).
人命在天(인명재천) : 사람의 목숨은 하늘에 달려 있어 인력으로는 어찌할 수 없다.
人事不省(인사불성) : 의식을 잃어서 사람의 일을 알아차리지 못함.
人山人海(인산인해) : 산과 바다처럼 많은 사람이 모인 상태.
一面如舊(일면여구) : 단 한 번 만나 사귀어 옛 친구처럼 친해짐.
日就月將(일취월장) : 날로 달로 자라거나 발전함.
自手成家(자수성가)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일가를 이룩함.
前代未聞(전대미문) : 이제까지 들어본 적이 없는 일. ?前古未聞(전고미문).
知者樂水(지자요수) :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함. 지혜로운 사람은 흐르는 물처럼 사리에                       막힘이 없음.
集小成大(집소성대) :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을 이룬다.
天人共怒(천인공노) : 하늘과 사람이 함께 노하다.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
                    누구나 참을 수 없는 분노.
靑山流水(청산유수) : 청산에 흐르는 물과 같이, 말을 막힘없이 술술 잘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春秋筆法(춘추필법) : 역사를 기록하는 필법.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 세우는 논조.
出將入相(출장입상) : 나가서는 장수 들어오면 재상. 문무를 겸비한 대신.
快人快事(쾌인쾌사) : 쾌활한 사람의 시원스러운 행동.
特立獨行(특립독행) : 의지하지 않고 자립하여 홀로 행한다. 남에게 굴하지 않고 소신대로 행동함.
下學上達(하학상달) : 아래의 것부터 배워서 위에 이름. 쉬운 것부터 배워 깊은 이치를 깨달음.
解衣推食(해의추식) : 옷을 벗어주고 음식을 밀어준다. 남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

(준4급)
見利思義(견리사의) : 눈앞에 이익이 보일 때, 옳은 의리를 생각함.
鷄口牛後(계구우후) : 닭의 부리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않음. 작은 일이라도 책임자가                      될지언정 지배를 받기 싫음.
舊官名官(구관명관) : 옛 관리가 훌륭한 관리임. 오랜 경험을 쌓은 사람이 낫다는 말.
九死一生(구사일생) :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넘고 겨우 살아남.
九牛一毛(구우일모) : 아홉 마리 소의 털 가운데서 한 개의 털. 썩 많은 것 중에 극히 적은 부분.                      鳥足之血(조족지혈). 滄海一粟(창해일속)
九重深處(구중심처) : 대궐 안 깊은 곳.
權不十年(권불십년) : 권세는 10년을 넘지 못한다. 권력은 오래가지 못하고 늘 변한다.
                    또는 영화는 일시적이어서 계속되지 않는다.
近朱者赤(근주자적) : 붉은 빛에 가까이 하면 반드시 붉게 된다는 뜻.
起死回生(기사회생) : 중병으로 죽을 뻔하다가 다시 살아남.
難兄難弟(난형난제) : 누구를 형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해야 할지 분간하기 어려움.
                   우열이나 정도의 차이를 가리기 어려움. 伯仲之間(백중지간). 莫上莫下(막상막하).
男負女戴(남부여대) : 남자는 짐을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다. 가난한 사람들이나 재난을 당한                      사람들이 집을 떠나 떠돌아다니는 형상.
老當益壯(노당익장) : 나이를 먹을수록 기력이 더욱 좋아지다. 그런 사람을 이른다.(? 老益壯)
多事多難(다사다난) : 여러 가지로 일이 많고 몹시 어려움.
大義名分(대의명분) : ①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행하여야 할 도리나 본분.  
                    ②어떤 일을 꾀하는 데 내세우는 합당한 구실이나 이유.
獨守空房(독수공방) : 결혼한 여자가 남편 없이 홀로 방을 지키다.
燈下不明(등하불명) : 등잔 밑이 어두움. 가까이에서 생긴 일을 오히려 잘 모름.
燈火可親(등화가친) :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은 시절. 가을철.
良藥苦口(양약고구) :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 이롭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나                      자신에게 이로움을 이르는 말.
馬耳東風(마이동풍) : 말의 귀에 동풍이 불어도 말은 아랑곳하지 않음.
                    남의 의견이나 비평을 전혀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림.
無念無想(무념무상) : 일체 상념(想念)이 없는 담담한 마음의 상태.
物外閑人(물외한인) : 세상의 시끄러움에서 벗어나 한가롭게 지내는 사람.
白眼視(백안시) : 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을 뜻함. ↔ 靑眼視(청안시).
白衣從軍(백의종군) : 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 전쟁터로 감.
兵家常事(병가상사) : 병가에는 항상 있는 일. 흔히 있는 일.
                    또는 실패는 흔히 있는 일이니 낙심할 것 없다.
婦言是用(부언시용) : 여자의 말을 무조건 옳게 쓴다. 줏대 없이 여자의 말을 잘 듣다.
不可思議(불가사의) : 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 없이 이상야릇함.
不問可知(불문가지) : 묻지 않아도 가히 알 수 있다.  明若觀火(명약관화).
非一非再(비일비재) :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님. 수두룩하게 많음.
舍己從人(사기종인) : 자기의 이전 행위를 버리고 타인의 선행을 본떠 행함.
死後藥房文(사후약방문) : 죽은 뒤에 약방문. 시기를 잃어 낭패를 보는 경우.
送舊迎新(송구영신) : 낡은 것을 보내고 새 것을 맞이한다. 송고영신(送故迎新)에서 나온 말로                      관가에서 구관을 보내고 신관을 맞이했던 데서 유래.
是是非非(시시비비) : 옳은 것은 옳다고 하고 그른 것은 그르다고 함.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함.
十伐之木(십벌지목) : 열 번 찍어 안 넘어 가는 나무가 없다. 아무리 마음이 굳은 사람이라도                      여러 번 치근거리면 마음이 움직이게 된다.
安貧樂道(안빈낙도) : 가난한 생활 가운데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김. 安分知足(안분지족).
眼下無人(안하무인) :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 교만하여 사람을 업신여김.
漁父之利(어부지리) : 도요새와 무명조개가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가 둘 다 잡았다는 고사에서,                      두 사람의 싸움으로 엉뚱한 제삼자가 이익을 보게 됨을 이르는 말.
與民同樂(여민동락) : 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김.
與世推移(여세추이) : 세상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해가다.
女必從夫(여필종부) : 아내는 반드시 남편의 뜻을 좇아야 함.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 싸움터에서, 오십 보를 달아난 자가 백 보를 달아난 자를 보고
                       비웃더라도, 달아나기는 매일반.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같음.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것을 익히고 나아가서 새로운 이치를 깨달음.
雨順風調(우순풍조) : 비가 순조롭고 바람이 고름. 농사에 알맞게 기후가 순조로움.
牛耳讀經(우이독경) : 쇠귀에 경 읽기.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
雲上氣品(운상기품) : 속됨을 벗어난 인간의 고상한 기질과 성품.
月下氷人(월하빙인) : 부부의 인연을 맺어 준다는 전설상의 늙은이. 중국 당나라의 위고(韋固)가                      달밤에 어떤 노인을 만나 장래의 아내에 대한 예언을 들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月下老人(월하노인)
威風堂堂(위풍당당) : 풍채가 위엄이 있어 당당함.
有備無患(유비무환) : 준비가 있으면 근심할 것이 없음.
陰德陽報(음덕양보) : 사람이 보지 않는 곳에서 좋은 일을 베풀면 반드시 그 일이 드러나서                       갚음을  받는다.
意氣投合(의기투합) : 서로 마음이 맞다.
意味深長(의미심장) : 말이나 글의 뜻이 매우 깊음.
以卵投石(이란투석) : 계란을 바위에 던지다. 약한 것으로 강한 것을 당해 내려는 어리석은 짓.
以熱治熱(이열치열) : 열은 열로 다스려야 한다.
因果應報(인과응보) : 불교에서,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의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됨.
一擧兩得(일거양득) :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의 이익을 얻음. 一石二鳥(일석이조).
一言半句(일언반구) : 극히 짧은 말.
一葉知秋(일엽지추) : 나뭇잎 하나가 떨어짐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안다. 한 가지 일을 보고 장차                      오게 될 일을 미리 짐작함.
一波萬波(일파만파) : 한 사건이 그 사건에 그치지 않고 잇달아 많은 사건으로 번짐.
自給自足(자급자족) : 자기의 수요를 자기가 생산하여 충당함.
自業自得(자업자득)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果報)를 자기가 받음.
自初至終(자초지종) : 처음부터 끝까지의 동안이나 과정.
自行自止(자행자지) : 자기 마음대로 하고 싶으면 하고 하기 싫으면 하지 않음.
朝聞夕死(조문석사) :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짧은 인생을 값지게 살아야 한다.
朝變夕改(조변석개) :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일관성이
                    없이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조개모변?조변모개?조석변개.
鳥足之血(조족지혈) : 새 발의 피. 분량이 매우 적은 것.
晝耕夜讀(주경야독) :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함.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
走馬看山(주마간산) : 달리는 말 위에서 산천을 구경함. 사물의 겉만을 대강 보고 지나침.
竹林七賢(죽림칠현) : 중국 魏나라 말엽 晉나라 초기에 허무를 주장하여 죽림에서 술을 마시며                      청담(淸談)을 하고 지내던 일곱 선비.
竹馬故友(죽마고우) : 죽마를 타고 놀던 옛 친구. 어릴 때부터 친한 벗.
衆口難防(중구난방) : 뭇 사람의 말을 막기가 어려움.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구 지껄임.
至誠感天(지성감천) : 지극한 정성은 하늘을 감동시킴.
盡忠報國(진충보국) : 충성을 다하여 나라에 보답함.
進退兩難(진퇴양난) : 이러기도 어렵고 저러기도 어려운 매우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말. 進退維谷(진퇴유곡).
責人則明(책인즉명) : 남을 꾸짖는 데에는 밝다. 자기의 잘못을 덮어두고 남만 나무라다.
千里眼(천리안) : 북위 장제 때 광주자사로 부임해 온 양일이 천 리를 내다보는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를 속일 수 없다고 부하들이 말했다는 고사에서, 천리 밖의 사물을 볼 수                  있을 만큼 신비한 능력을 가진 사람을 가리킴.
千思萬考(천사만고) : 천번 만번 생각한다. 여러 가지로 생각하다.
千篇一律(천편일률) : 천 편의 시가 모두 한 가락임. 사물이 모두 판에 박은 듯이 한결같음.
忠言逆耳(충언역이) : 충성스런 말은 귀에 거슬림. 바르게 타이르는 말일수록 듣기 싫어함. 良藥苦口(양약고구).
他山之石(타산지석) : 남의 산의 돌이라도 자기의 옥을 가는 데 도움이 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도 자기의 지덕을 닦는 데 도움이 된다는 말.
太平煙月(태평연월) : 세상이 평화롭고 안락한 때.
敗家亡身(패가망신) : 집안의 재산을 다 써 없애고 몸을 망침.
平地風波(평지풍파) : 평지에서 풍파가 인다. 뜻밖에 일어나는 분쟁.
風前燈火(풍전등화) : 바람 앞의 등불.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하는 말. 風前燈燭(풍전등촉). 累卵之危(누란지위). 百尺竿頭(백척간두).
漢江投石(한강투석) : 한강에 돌 던지기. 지나치게 미미하여 전혀 효과가 없음.
行雲流水(행운유수) : 일정한 본질 없이 각양각색으로 변화함.
興盡悲來(흥진비래) :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옴. ↔ 苦盡甘來(고진감래).
喜怒哀樂(희노애락) :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喜色滿面(희색만면) : 기쁜 빛이 얼굴에 가득함.

(4급)
甘言利說(감언이설) : 달콤한 말과 이로운 말. 남의 비위에 맞도록 이로운 조건으로 꾀는 말.
感之德之(감지덕지) : 이를 감사하게 생각하고 이를 덕으로 생각한다. 대단히 고맙게 여긴다.
甲男乙女(갑남을녀) :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 평범한 사람. 張三李四(장삼이사).                        匹夫匹婦(필부필부)
居安思危(거안사위) : 편안하게 살면서 항시 위험한 때를 경계하여 생각함.
乾木水生(건목수생) : 마른 나무에서 물을 짜 내려한다. 엉뚱한 곳에서 불가능한 일을 이루려 한다.
犬馬之年(견마지년) : 자기 나이를 낮추어 하는 말.
犬馬之勞(견마지로) : 개와 말의 수고. 자기의 노력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노력.
犬馬之養(견마지양) : 개나 말의 봉양. 부모를 봉양만 하고 존경하는 마음이 없음.
                    봉양만 하는 것은 효도가 아니다.
見危授命(견위수명) : 나라의 위태로움을 보고 자기의 목숨을 바침.
結者解之(결자해지) : 맺은 사람이 그것을 푼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그 일을 끝맺음.
敬而遠之(경이원지) : 공경하되 가까이하지 않음.
鷄卵有骨(계란유골) : 계란에도 뼈가 있음. 뜻밖의 장애물이 생김.
苦盡甘來(고진감래)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옴.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
                    ↔ 興盡悲來(흥진비래)
高枕短命(고침단명) : 베개를 높이 베면 오래 살지 못한다는 말.
骨肉相爭(골육상쟁) : 뼈와 살이 서로 다툼. 같은 민족끼리 서로 다툼.
空手來空手去(공수래공수거) :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감.
過猶不及(과유불급) : 정도에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음.
君臣有義(군신유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君子三樂(군자삼락) :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첫째, 부모가 다 살아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둘째, 하늘과 남에게 부끄러워할 일이 없는 것.
                    셋째,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
近墨者黑(근묵자흑) : 먹을 가까이 하면 검어짐. 좋지 못한 사람과 가까이 하면 악에 물들게 됨.                      近朱者赤(근주자적).
金石之交(금석지교) : 쇠나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사귐. ≒金石之契(금석지계).
金枝玉葉(금지옥엽) : 금 가지에 옥 잎사귀. ① 임금의 자손이나 매우 귀한 집의 자손.
                    ② 아름다운 구름을 고운 초목. ③ 가장 귀중한 물건.
旣望(기망) : 음력(陰曆)으로 16일. 이미 망월(望月:15일)이 지났다는 뜻에서 16일.
內憂外患(내우외환) : 내부의 근심과 외부에 대한 걱정.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근심과 걱정.
勞而無功(노이무공) : 온갖 애를 썼으나 아무런 보람이 없음.
單刀直入(단도직입) : 혼자서 한 자루의 칼을 휘두르며 적진으로 곧장 쳐들어감.
                    쓸데없는 말을 늘어놓지 않고 곧바로 하고자 하는 말을 함.
大同小異(대동소이) : 거의 같고 조금만 다름. 별로 다름이 없음.
徒勞無益(도로무익) : 헛되이 수고만 하고 보람이 없다.
道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것도 줍지 않음. 나라가 태평하게 잘 다스려짐.
莫上莫下(막상막하) : 실력이 엇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사이.
                    백중(伯仲), 백중지간(伯仲之間), 난형난제(難兄難弟), 차선차후(差先差後)
莫逆之友(막역지우) : 거스름이 없는 벗. 아주 허물이 없는 벗.
萬端情話(만단정화) : 여러 가지 정다운 이야기.
忘年之交(망년지교) : 나이를 따지지 않고 사귐.
望雲之情(망운지정) : 타향에서 고향에 계신 부모를 생각함. 멀리 떠나온 자식이 어버이를
                   사모하여 그리는 정.
忙中閑(망중한) : 바쁜 가운데에서도 한가로운 때.
目不識丁(목불식정) : 눈이 정자도 알지 못한다. 쉬운 글자도 모르는 매우 무식한 사람.
目不忍見(목불인견) : 참혹하고 딱한 모양을 차마 눈으로 볼 수 없음.
無骨好人(무골호인) : 뼈 없이 좋은 사람. 지극히 순하고 남의 비위를 두루 맞추는 사람.
無用之物(무용지물) : 아무 쓸모없는 물건이나 사람.
無爲徒食(무위도식) : 아무 하는 일없이 먹고 놀기만 함.
無爲而化(무위이화) : 애써 공들이지 않아도 저절로 변하여 잘 이루어짐. 성인의 덕이 크면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백성들이 스스로 잘 따라와서 감화됨.
尾生之信(미생지신) : 미련하고 우직하게 지키는 약속.
未曾有(미증유) : 지금까지 아직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
百家爭鳴(백가쟁명) : 많은 학자나 논객(論客)들이 거리낌 없이 자유롭게 논쟁하는 일.
白骨難忘(백골난망) : 죽어 백골이 된 후에도 은덕을 잊을 수 없음.
百年佳約(백년가약) : 젊은 남녀가 결혼하여 한평생을 함께 하자는 언약.
白手乾達(백수건달) : 아무 것도 없이 난봉을 부리고 돌아다니는 사람.
本然之性(본연지성) : 사람이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심성. 지극히 착하고 조금도 사리사욕이                      없는 천부자연의 심성.
朋友有信(붕우유신) :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함을 이른다.
朋友責善(붕우책선) : 친구는 서로 착한 일을 권함. 참다운 친구라면 서로 나뿐 짓을 못 하도록                      권하고 좋은 길로 이끌어야 한다.
事君以忠(사군이충) :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긴다는 말이다.
四端(사단) :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의 네 마음.
射石爲虎(사석위호) :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더니 돌에 화살이 꽂혔다.
                    성심을 다하면 아니 될 일도 이룰 수 있다.
私淑(사숙) : 직접 가르침을 받지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의 학문이나 인품을 본받아
            배우며 인격을 수양해 나간다.
事必歸正(사필귀정) :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데로 돌아감.
殺身成仁(살신성인) : 자기 몸을 희생하여 인을 이룸.
三伏炎天(삼복염천) : 초복, 중복, 말복의 찌는 듯한 여름 날씨.
三省吾身(삼성오신) : 날마다 세 번씩 자신을 반성함.
三人成虎(삼인성호) : 세 사람이 짜면 호랑이가 거리로 나왔다는 거짓말도 사실처럼 될 수 있음.                      근거 없는 말도 여럿이 하면 곧이듣게 됨.
三韓甲族(삼한갑족) : 우리나라에서 대대로 문벌이 높은 집안.
先見之明(선견지명) : 다가올 일을 미리 알아차리는 밝은 지혜.
先公後私(선공후사) : 공사(公事)를 먼저 하고 사사(私事)를 뒤로 미룸.
仙風道骨(선풍도골) : 신선의 풍채. 도사와 같은 골격. 남달리 뛰어난 풍모를 가진 사람.
                    또는 비범한 사람.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임. 불행한 일이 거듭하여 생김.
                    ↔ 錦上添花(금상첨화).
送舊迎新(송구영신) :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水魚之交(수어지교) : 물과 고기의 사귐. 매우 친밀하게 사귀어 떨어질 수 없는 사이.
識字憂患(식자우환) : 아는 것이 도리어 근심을 사게 됨.
神通之力(신통지력) : 신통력. 헤아릴 수 없는 변화의 재주를 가진 힘.
我田引水(아전인수) : 제 논에 물 대기.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
哀而不悲(애이불비) : 속으로는 슬프면서 겉으로는 슬프지 않은 체함.
藥房甘草(약방감초) : 약방의 감초. 무슨 일이든지 빠짐없이 낌. 그러한 사람.
養虎遺患(양호유환) : 범을 길렀다가 그 범에게서 해를 입음.
                    은혜를 베풀어 주고도 도리어 해를 입게 됨.
魚頭肉尾(어두육미) : 생선은 머리 쪽이, 짐승은 꼬리 쪽이 맛이 좋음.
言中有骨(언중유골) : 말 속에 뼈가 있다. 말은 순한 듯하나 남을 비꼬거나 헐뜯는 요소가 들어 있다.
言則是也(언즉시야) : 말하는 것이 사리에 맞음.
如坐針席(여좌침석) : 바늘방석에 앉은 것처럼 몹시 불안하다.
易地思之(역지사지) : 처지를 바꾸어 생각함. 상대편의 입장에서 생각해 봄.
吾鼻三尺(오비삼척) : 내 코가 석자. 내 일도 감당하기 어려워 남의 사정을 돌볼 여유가 없다.
烏合之卒(오합지졸) : 아무 규율도 통일도 없이 몰려 있는 무리. 훈련되지 않은 군사.
欲速不達(욕속부달) : 너무 빨리 하려고 서두려면 도리어 일을 이루지 못함.
唯我獨尊(유아독존) : 이 세상에는 나보다 더 높은 것이 없다.
遊必有方(유필유방) : 나가서 놀 때에는 반드시 행방을 부모에게 알려야 한다.
意氣揚揚(의기양양) : 의기가 드높아 매우 자랑스럽게 행동하는 모양.
依門之望(의문지망) : 밖에 나간 자식을 어버이가 문에 기대어 기다림.
異口同聲(이구동성) : 여러 사람의 말이 한결같이 같음.
仁者樂山(인자요산) :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함. 어진 사람의 행동은 신중하기가 산과 같음.
人之常情(인지상정) :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통의 마음.
日久月心(일구월심) :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 간다. 날이 갈수록 바라는 마음이 더 간절하다.
一片丹心(일편단심) : 한 조각의 붉은 마음. 변치 않는 참된 마음.
立身揚名(입신양명) :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고 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드날리다.
入耳著心(입이저심) : 귀로 들어온 것을 마음속에 붙인다. 들은 것을 마음속에 간직하여 잊지 않는다.
長幼有序(장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뜻한다.
適者生存(적자생존) : 환경에 적합한 것만이 생존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멸망한다.
絶代佳人(절대가인) : 이 세상에 비할 데 없는 미인.
頂門一針(정문일침) : 정수리에 침을 놓다. 남의 잘못을 따끔하게 비판하거나 충고하다.
諸行無常(제행무상) : 인생의 덧없음. 또는 우리가 거처하는 우주의 만물은 항상 돌고 변하여서                      같은 모습으로 꽉 정돈하여 있지 아니함.
朝令暮改(조령모개) : 아침에 영을 내리고 저녁에 다시 고침. 법령이나 명령이 자주 뒤 바뀜.
朝三暮四(조삼모사) :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농락함을 이르는 말.
坐不安席(좌불안석) :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 한군데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함.
坐井觀天(좌정관천) :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보면 조금밖에 보이지 않는다. 세상일에 어두운 것.
左之右之(좌지우지) : 왼쪽으로 돌렸다 오른쪽으로 돌렸다 함. 제 마음대로 처리하거나 다룸.
知己之友(지기지우) : 자기의 속마음을 참되게 알아주는 친구.
知彼知己(지피지기) :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한다. 적의 형편과 나의 형편을 자세히 알다.
指呼之間(지호지간) : 손짓으로 부를 만한 가까운 거리.
此日彼日(차일피일) : 이날저날 하고 미루기만 한다.
千辛萬苦(천신만고) : 마음과 몸을 온 가지로 수고롭게 하고 애씀.
鐵面皮(철면피) : 무쇠처럼 두꺼운 낯가죽. 뻔뻔스럽고 염치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靑雲之志(청운지지) : 푸른 구름의 뜻. 속세에 초연한 태도. 입신출세에 대한 야망.
草根木皮(초근목피) : 풀뿌리와 나무껍질. 곡식이 없어 산나물 따위로 만든 거친 음식.
寸鐵殺人(촌철살인) : 한 치의 쇠로 사람을 죽임. 짤막한 경구로 사람의 마음을 크게 뒤흔듦.
泰山北斗(태산북두) : 태산과 북두성. 세상 사람으로부터 존경을 받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泰然自若(태연자약) : 침착하여 마음이 동요되지 않고 천연스러움.
破竹之勢(파죽지세) : 대를 쪼개는 형세. 세력이 강하여 거침없이 물리치면서 쳐들어가는 기세.                      乘勝長驅(승승장구).
皮骨相接(피골상접) : 살가죽과 뼈가 맞붙을 정도로 몹시 마르다.
匹夫之勇(필부지용) : 혈기만 믿고 함부로 덤비는 소인의 용기.
匹夫匹婦(필부필부) : 평범한 남자와 여자. 甲男乙女(갑남을녀). 愚夫愚婦(우부우부).
                    張三李四(장삼이사).

(준3급)
刻骨難忘(각골난망) : 남에게 입은 은혜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혀지지 아니함.
各樣各色(각양각색) : 서로 다른 갖가지 모양.
格物致知(격물치지) :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자기의 지식을 극한에까지 파고드는 일.
兼人之勇(겸인지용) : 능히 몇 사람을 당해 낼만한 용기.
經國濟世(경국제세) : 나라를 다스리고 세상을 구제함.
傾國之色(경국지색) : 한 나라를 기울게 할 만한 뛰어난 미인.
經世濟民(경세제민) :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함.(준말 : 經濟)
孤軍奮鬪(고군분투) : 도움이 없고 수가 적은 군사가 용감하게 잘 싸움.
高臺廣室(고대광실) : 굉장히 크고 좋은 집.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 고려 말기에 정치가 혼란스러워 법령이 사흘 만에 바뀌었다는 데서                             방침이 일관성이 없고 변동이 심함을 가리키는 말.
                           作心三日(작심삼일). 朝變夕改(조변석개)
孤立無援(고립무원) : 고립되어 구원받을 데가 없음.
孤城落日(고성낙일) : 고립무원한 외딴 성이 해가 지려고 하는 곳에 있다. 도움이 없이 고립된 상태.                      남은 삶이 얼마 남지 않은 쓸쓸한 심경.
姑息之計(고식지계) : 잠시 모면하는 일시적인 계책.
孤掌難鳴(고장난명) : 한 쪽 손뼉은 울지 못함. 혼자서는 일을 이루기가 어려움.
骨肉相殘(골육상잔) : 가족이나 친척까지 서로 싸움.
巧言令色(교언영색) : 교묘한 말과 아름답게 억지로 꾸민 얼굴. 남에게 아첨하는 말과 태도.
九折羊腸(구절양장) : 양의 창자처럼 꼬불꼬불 험한 길.
群雄割據(군웅할거) : 여러 영웅이 각지에 자리 잡고 서로 세력을 다툼.
金科玉條(금과옥조) : 금이나 옥과 같은 조문. 아주 귀중한 법칙이나 규범.
金城鐵壁(금성철벽) : 금으로 만든 성, 철로 된 벽. 매우 굳고 든든한 성.
錦衣夜行(금의야행) :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감. 성공했어도 보람이 없음.
金枝玉葉(금지옥엽) : 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 왕족이나 귀족처럼 매우 지체가 높은 자손.                      귀여운 자손.
奇想天外(기상천외) : 보통 사람이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엉뚱하고 기발함.
氣盡脈盡(기진맥진) : 기운이 없어지고 맥이 풀렸다. 온몸의 힘이 다 빠져 버리다.
奇貨可居(기화가거) : 기이한 재물은 저축해 두는 것이 옳다. 좋은 물건을 사두면 장차 큰 이익을 본다.
難攻不落(난공불락) : 공격하기가 어려워 좀처럼 함락되지 않음.
亂臣賊子(난신적자) : 나라를 어지럽히는 역적과 부모를 해치는 자식.
內剛外柔(내강외유) : 겉으로 보기에는 유순하지만 속마음은 단단하고 굳셈.
老馬之智(노마지지) : 늙은 말의 지혜.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의 장점을 지니고 있음.
斷機之戒(단기지계) : 맹자가 수학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했다는 고사.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면 아무 쓸모없이 됨을 경계하는 말.                       孟母斷機(맹모단기).
斷腸(단장) : 몹시 슬퍼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
大同團結(대동단결) : 많은 사람. 여러 갈래의 당파가 큰 덩어리로 한 데 뭉치다.
大義滅親(대의멸친) : 대의를 위해서 친족도 멸함. 국가나 사회의 대의를 위해서는 부모 형제의                      정도 돌보지 않음.
杜門不出(두문불출) : 문을 닫고 나가지 않는다. 집안에만 들어앉아 외출을 하지 않다.
登龍門(등용문) : 잉어가 중국 황화강 상류의 급류를 이룬 용문에 오르면 용이 된다는 뜻으로,                  입신출세의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을 이르는 말.
萬口成碑(만구성비) : 많은 사람의 입이 비를 이룬다.
晩時之歎(만시지탄) : 때가 지났음을 원통해 하는 탄식.
亡羊之歎(망양지탄) : 갈림길이 많아서 잃어버린 양을 찾을 길이 없음을 한탄함.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
買占賣惜(매점매석) : 값이 오를 것을 예상하여 어떤 상품을 한꺼번에 많이 사두고 되도록 팔지                     않는 일.
面壁九年(면벽구년) : 고승 달마가 산중에서 구년간 벽을 대하고 앉아 수도하여 마침내 형태가                      돌 속으로 들어갔다. 정성을 다하면 금석이라도 뚫을 수 있다.
明鏡止水(명경지수) : 맑은 거울과 잔잔한 물. 아주 맑고 깨끗한 심경을 이르는 말.
無窮無盡(무궁무진) : 끝이 없고 다함이 없다.
無腸公子(무장공자) : 담력이나 기개가 없는 사람을 비웃어 하는 말. 게의 별칭.
博物君子(박물군자) : 온갖 사물에 대하여 견문이 썩 넓은 사람.
博而不精(박이부정) : 여러 방면으로 널리 알기는 하난 자세히 알지는 못함.
拍掌大笑(박장대소)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博學多識(박학다식) : 학문이 넓고 식견이 많음.
半信半疑(반신반의) : 반쯤은 믿고 반쯤은 의심함.
背水之陣(배수지진) : 물을 등지고 치는 진. 결사적인 각오로 임함.
背暗投明(배암투명) : 어두운 곳을 등지고 밝은 곳으로 나오다. 그른 길을 버리고 바른 길로 나아가다.
背恩忘德(배은망덕) : 은혜를 잊고 도리어 배반함.
百折不屈(백절불굴) : 어떠한 난관 에도 굽히지 않고 이겨 나감. 不撓不屈(불요불굴).
複雜多端(복잡다단) : 일이 얽히고설키어 갈피를 잡기 어려움.
本第入納(본제입납) : 자기 집에 편지할 때에 겉봉 표면에 자기 이름을 쓰고 그 밑에 쓰는 말.
不可抗力(불가항력) : 힘으로 대항할 수 없음.
不肖子(불초자) : 부모를 닮지 못한 어리석은 자식. 아들이 부모에 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일컫는 말.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 얼음과 숯처럼 두 사물이 서로 화합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四海同胞(사해동포) :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모두 형제.
殺生有擇(살생유택) :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生者必滅(생자필멸) : 생명이 있는 것은 반드시 죽음.
先則制人(선즉제인) : 먼저 하면 남을 제압한다. 무슨 일이든 남보다 빨리하면 유리하다.
聲東擊西(성동격서) : 병법의 하나로 동쪽을 친다고 소리 질러 놓고 실제로는 서쪽을 친다.
世俗五戒(세속오계) : 원광법사가 화랑들에게 지켜야 할 것으로 제시한 다섯 가지 계율.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교우이신(交友以信),
                    임전무퇴(臨戰無退), 살생유택(殺生有擇).
宿虎衝鼻(숙호충비) : 자는 범 코침 주기. 화를 스스로 불러들이는 일.
歲寒孤節(세한고절) : 추운 계절에도 혼자 푸르른 대나무. 겨울.
損者三友(손자삼우) : 사귀면 손해(損害)가 되는 세 가지 친구로서, 무슨 일에나 安易(안이)한  길만을                        취하는 사람, 남에게 아첨하는 사람, 입에 발린 말 뿐이고 성의가 없는 사람
述而不作(술이부작) : 성인의 말을 술하고(전하고) 자기의 설(說)을 지어내지 않음.
信賞必罰(신상필벌) : 상을 줄 만하면 반드시 상을 주고 벌을 줄 만한 데는 반드시 벌을 줌.                     상벌을 공정
心機一轉(심기일전) : 어떠한 동기에 의하여 이제까지의 먹었던 마음을 바꿈.
惡戰苦鬪(악전고투) : 죽을힘을 다하여 고되게 싸움.
夜半逃走(야반도주) : 사람의 눈을 피해 한밤중에 도주함.
兩虎相鬪(양호상투) : 두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 두 영웅 또는 두 나라가 서로 싸우는 것.
言語道斷(언어도단) : 말문이 막힘. 어이가 없어서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음.
如反掌(여반장) : 손바닥을 뒤집는 것같이 아주 쉬움.
緣木求魚(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함.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고자 함.
炎凉世態(염량세태) : 뜨겁고 차가운 세태. 권세가 있을 때에는 아첨하여 쫓고 권세가 떨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속의 형편.
英雄豪傑(영웅호걸) : 영웅과 호걸.
外柔內剛(외유내강) : 겉으로는 부드럽고 순하게 보이나 속은 꿋꿋하고 굳음.
用意周到(용의주도) : 어떤 일을 할 마음이 두루 미친다. 마음의 준비가 두루 미쳐 빈틈이 없다.
牛刀割鷄(우도할계) : 닭을 잡는 데에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랴.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
                    대기(大器)를 씀.
優柔不斷(우유부단) : 어물어물하기만 하고 딱 잘라 결단하지 않음.
遠交近攻(원교근공) :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이웃 나라를 하나씩 공략하는 일.
危機一髮(위기일발) : 매우 절박한 순간.
柔能制剛(유능제강) : 부드러운 것이 능히 이김이니 너그럽고 부드럽게 하는 것이 딱딱하고                        매섭게  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類萬不同(유만부동) : 비슷한 것이 많으나 서로 같지 않음. 분수에 맞지 않음.
類類相從(유유상종) : 서로 같은 사람끼리 한 무리가 됨.
隱忍自重(은인자중) : 괴로움을 감추어 참고 몸가짐을 신중히 함.
二律背反(이율배반) : 서로 모순 되는 명제가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주장함.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 : 짧은 시간이 삼년같이 길게 느껴짐. 시간이 빨리 지나가기를 바라는                         뜻으로 초조하게 간절히 기다리는 마음.
一刀兩斷(일도양단) : 한 칼로 쳐서 둘로 나눈다. 일이나 행동을 머뭇거리지 않고 선뜻 결정하다.
一罰百戒(일벌백계) : 하나의 처벌로 배이 경계한다. 본보기로 하는 처벌.
一絲不亂(일사불란) : 질서정연하여 조금도 어지러운 데가 없음.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 모든 것은 마음먹기 나름임.
一筆揮之(일필취지) : 글씨를 단숨에 힘차고 시원하게 써 내려가다.
自强不息(자강불식) : 스스로 힘써 쉬지 않음.
自激之心(자격지심) : 어떤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한 생각을 가짐.
自中之亂(자중지란) : 자기네 한 동아리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自畵自讚(자화자찬) : 자기가 그린 그림을 자기가 칭찬하다. 자기가 한 일을 자기 스스로 칭찬하다.
張三李四(장삼이사) :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아들. 평범한 보통 사람.
掌中寶玉(장중보옥) : 손에 쥔 옥. 사랑하는 자식이나 매우 귀중한 물건.
積小成大(적소성대) : 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
積土成山(적토성산) : 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
朝不慮夕(조불려석) : 아침에 저녁 일을 헤아리지 못함. 당장을 걱정할 뿐 다음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
終無消息(종무소식) : 끝내 소식이 없다.
酒池肉林(주지육림) : 슬러 이루어진 못과 고기로 이루어진 숲. 호사하고 방탕한 잔치나 생활 분위기.
千慮一失(천려일실) : 천 번의 생각에 한 번의 실수. 아무리 슬기로운 사람도 많은 생각 가운데서                       어쩌다 실수하는 경우가 있음. ↔ 千慮一得(천려일득).
天生緣分(천생연분) : 하늘이 맺어준 깊은 연분.
天災地變(천재지변) : 지진 ? 태풍 ? 홍수 따위와 같이 자연 현상에 의해 일어나는 재앙.
千差萬別(천차만별) : 여러 가지 사물이 모두 차이가 있고 구별이 있음.
千態萬象(천태만상) : 세상의 온갖 모양과 형상.
泰山壓卵(태산압란) : 큰 산이 알을 누른다. 큰 위력으로 내리 누름. 아주 손쉬운 것.
破鏡重圓(파경중원) : 깨진 거울이 다시 둥근 모습을 되찾았다. 생이별한 부부가 다시 결합한 것.
表裏不同(표리부동) : 겉과 속의 다름. 말과 행동이 다름.
虛張聲勢(허장성세) : 헛되이 목소리의 기세만 높인다. 실력이 없으면서도 허세로만 떠벌리다.
紅一點(홍일점) : 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 붉은 꽃. 많은 남자들 속의 한 여자.
會者定離(회자정리) : 만나는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게 됨.

(3급)
佳人薄命(가인박명) : 아름다운 여자는 수명이 짧음. 소식(蘇軾)이 지은 시에서 유래한다.
                     ?미인박명.
刻骨銘心(각골명심) : 뼈에 새기고 마음에 새긴다. 어떤 것을 마음 속 깊이 새겨둠.
刻舟求劍(각주구검) : 배 밖에 칼을 떨어뜨린 사람이 후에 찾기 위해 뱃전에 표시를 해두었다는 고사.                      시세의 변천도 모르고 낡은 것만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한 말.
去者日疎(거자일소) : 죽은 사람을 애석히 여기는 마음은 날이 갈수록 점점 사라진다.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점점 사이가 멀어진다.
輕擧妄動(경거망동) : 깊이 생각해 보지도 않고 경솔하게 함부로 행동함.
契酒生面(계주생면) : 남의 물건으로 자기가 생색을 냄.
季布一諾(계포일낙) : 한 번 한 약속은 끝까지 지킴.
鼓腹擊壤(고복격양) : 배를 두드리고 흙덩이를 친다. 배불리 먹고 흙덩이를 치는 놀이를 한다.                      매우 살기 좋은 시절.
古色蒼然(고색창연) : 오래되어 옛날의 풍치가 저절로 들어나 보이는 모양.
苦肉之策(고육지책) : 적을 속이는 수단으로서 제 몸 괴롭히는 것을 돌보지 않고 쓰는 계책.
曲學阿世(곡학아세) : 학문을 왜곡하여 세상에 아첨한다. 자신의 소신이나 철학을 굽혀 권세나                      시세에 아첨함.
孔子曰孟子曰(공자왈맹자왈) : 공자왈 맹자왈 한다. 글방 선비들이 다만 孔孟의 전적(典籍)을                             읽으며 그에  하등 실천은 하지 않으면서 空理空論만 일삼음을 보고 하는 말.
空中樓閣(공중누각) : 공중에 누각을 지은 것처럼 근거가 없는 가공의 사물.
口蜜腹劍(구밀복검) : 입으로는 달콤함을 말하나 배 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
口如懸河(구여현하) : 입이 급히 흐르는 물과 같다. 거침없이 말을 잘하는 것.
口禍之門(구화지문) : 입은 재앙의 문. 말을 삼가도록 경계.
國士無雙(국토무쌍) : 그 나라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은 둘도 없다. 매우 뛰어난 인재.
群鷄一鶴(군계일학) : 많은 닭 중에 한 마리의 학. 평범한 사람 가운데 뛰어난 사람.
君爲臣綱(군위신강) : 신하(臣下)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根本)임.
窮餘之策(궁여지책) : 매우 어려운 가운데 짜낸 한 가지 계책.
權謀術數(권모술수) :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쓰는 교묘한 술책.
克己復禮(극기복례) :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쫓음.
金蘭之交(금란지교) : 금처럼 견고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사귐. 견고한 벗 사이의 우정.
錦上添花(금상첨화) : 비단 위에 쫓을 더한다. 좋은 일에 좋은 일이 겹칠 때.
金烏玉兎(금오옥토) : 금오는 해, 옥토는 달. 즉 해와 달을 이름.
錦衣還鄕(금의환향) : 비단옷 입고 고향으로 돌아옴. 다른 고장에 가서 성공하여 高貴한 신분이                      되어서 고향으로 돌아온다.
金子塔(금자탑) :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번역한 말. 그 모양이 금(金)자와 비슷한 데서 온 말.                  길이 후세에 전해질만한 가치가 있는 불멸의 업적.
氣高萬丈(기고만장) : 기운이 만장이나 뻗치었다. 펄펄 뛸 만큼 크게 성이 남.
                   또는 일이 뜻대로 되어 나가 씩씩한 기운이 대단하게 뻗침.
綠陰芳草(녹음방초) : 나무가 푸르게 우거진 그늘과 꽃다운 풀. 여름의 아름다운 경치.
綠衣紅裳(녹의홍상) : 푸른 저고리와 붉은 치마. 젊은 여인의 고운 옷차림.
弄假成眞(농가성진) : 장난으로 한 것이 참으로 한 결과가 되었다.
弄瓦之慶(농와지경) : 딸을 낳은 기쁨.
堂拘風月(당구풍월) : 서당 개 3년에 풍월을 한다. 무식쟁이라도 유식한 사람과 사귀면 견문이 넓어진다.                         또는 무슨 일 하는 것을 오래 오래 보고 듣고 하면 자연히 할 줄 알게 된다.
同價紅裳(동가홍상)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같은 조건이라면 좀 더 낫고 편리한 것을 택함.
同床異夢(동상이몽) : 한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
                     같은 자리에 있으면서 그 가지는 생각이 서로 다름.
登高自卑(등고자비) : 높은 곳을 올라가려면 낮은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일의 진행에는 차례가 있음.
臨機應變(임기응변) : 기회에 임해 변화에 순응함.
                   그때그때의 형편에 따라 그에 알맞게 일을 처리하다.
臨戰無退(임전무퇴) : 전쟁에 나아가서 물러서지 않음을 이른다.
萬頃蒼波(만경창파) : 만 이랑의 푸른 물결. 한없이 넓고 푸른 바다.
梅妻鶴子(매처학자) : 매화를 아내로 삼고 학을 자식으로 삼음.  풍아한 생활.
孟母斷機(맹모단기) : 맹자의 어머니가 베를 끊었다는 뜻으로, 학업(學業)을 중도에서 그만둠을                     훈계하는 말. 맹모단기지교.
面從腹背(면종복배) : 얼굴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마음속으로는 배반함.
名實相符(명실상부) : 이름과 실상이 서로 들어맞음. 알려진 것과 실제의 상황이나 능력에
                    차이가 없다.
命在頃刻(명재경각) : 목숨이 끊어질 지경.
明哲保身(명철보신) : 이치에 좇아 일을 처리하여 보신함.
無賴漢(무뢰한) : 일정한 직업이 없이 나 다니는 불량한 자.
黙黙不答(묵묵부답) : 입을 다문 채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음.
文過飾非(문과식비) : 허물도 꾸미고 잘못도 꾸민다. 잘못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뉘우침도
                   없이 숨길 뿐 아니라 도리어 외면하고 도리어 잘난 체함.
薄氷如履(박빙여리) : 엷은 얼음을 밟듯이 세상의 처세에 조심함.
薄酒山菜(박주산채) : 맛이 변변치 않은 술과 산나물. 자기가 내는 술과 안주의 겸칭.
伐齊爲名(벌제위명) : 제나라를 공격하나 이름만 있다. 무엇을 하는 체하나 실상인즉 딴짓을 함.
碧昌牛(벽창우) : 평안북도 벽동(碧潼)과 창성(昌城)지방의 크고 억센 소.
                미련하고 고집이 센 사람을 비유.
變化無雙(변화무쌍) : 세상이 변하여 가는 것이 더할 수 없이 많고 심하다.
本末轉倒(본말전도) : 일이 처음과 나중이 뒤바뀜. 일의 근본 줄기는 잊고 사소한 부분에만 사로잡힘.
夫爲婦綱(부위부강)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根本)임.
父爲子綱(부위자강) :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根本)임.
夫唱婦隨(부창부수) : 남편이 부르면 아내가 따른다. 남편의 주장에 아내가 따름. 부부의 화합.
不恥下問(불치하문) :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
貧賤之交(빈천지교) : 내가 가난하고 천할 때 나를 친구로 대해준 벗은 내가 부귀하게 된 뒤에도                      언제까지나 잊어서는 안된다.
思無邪(사무사) : 생각이 바르므로 사악함이 없음.
四分五裂(사분오열) : 넷으로 나누어지고 다섯으로 갈라진다. 나라가 어지러워지는 것.
三綱五倫(삼강오륜) : 삼강(三綱)은 유교 도덕이 되는 세가지 뼈대가 되는 줄거리로서,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부모와 아들(父爲子綱)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 오륜(五倫)은 유교 실천 도덕에 있어서 기본                      이 되는 다섯가지의 인륜(君臣有義, 父子有親,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을 말한다.
三不惑(삼불혹) :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술 여자 재물.
三旬九食(삼순구식) : 한 달에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 집이 몹시 가난한 것.
城下之盟(성하지맹) : 적에게 성을 정복당하고서 항복하여 맺은 강화(講和)의 맹약(盟約).                       대단히 굴욕적인 강화.
騷人墨客(소인묵객) : 시문(詩文)이나 서화(書畵)를 일삼는 사람.
小貪大失(소탐대실) : 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잃다.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이 묶인 것처럼 방책을 세울 수없다. 어찌할 도리가 없음.
隨問隨答(수문수답) : 물으면 묻는 대로 거침없이 대답함.
手不釋卷(수불석권) :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 늘 책을 가까이하여 학문을 열심히 하다.
壽則多辱(수즉다욕) : 장수하면 욕됨이 많다. 오래도록 살면 그만큼 좋지 않은 일도 많이 겪게 된다.                      또는 사람이 모질어서 남 못할 짓을 함을 욕함.
脣亡齒寒(순망치한) :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가까이 있는 둘 중의 하나가 망하면
                    다른 하나도 위태로워진다.
始終一貫(시종일관) : 처음부터 끝가지 한결같이 관철함.
                   시종여일(始終如一), 종시여일(終始如여一), 종시일관(終始一貫), 시종(始終)
新陳代謝(신진대사) : 묵은 것이 없어지고 새것이 대신 생기는 일.
神出鬼沒(신출귀몰) : 출몰이 자유자재하여 귀신같음.
深思熟考(심사숙고) : 깊이 생각하고 깊이 고찰함. 신중을 기하여 곰곰히 생각함.
十日之菊(십일지국) : 국화는 9월 9일이 절정기이니 십일 날의 국화. 무엇이나 한창 때가 지나                     때 늦은 것.
眼高手卑(안고수비) : 눈은 높으나 손은 낮음. 눈은 높으나 실력은 따라서 미치지 못함.
                   또는 전에는 사치하게 살던 이가 가난하여져 눈은 높고 돈은 전대로 쓰지 못할 때.
如履薄氷(여리박빙) : 살얼음을 밟듯 매우 조심함.
愚公移山(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기다. 남들은 어리석게 여기나 한 가지 일을 소신있게                      하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
愚夫愚婦(우부우부) : 어리석은 남자와 어리석은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愚者一得(우자일득) : 어리석은 사람도 때에 따라 좋은 생각을 해 낸다.
流芳百世(유방백세) : 향기가 백대에 걸쳐 흐름. 꽃다운 이름이 후세에 길이 전함.
吟風弄月(음풍롱월)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보며 시를 짓고 읊으며 즐기다.
人面獸心(인면수심) :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다름이 없다.
                    은혜를 모르고행동이흉악하며 인정을 모르는 사람.
日暮途窮(일모도궁) :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막힘. 앞으로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았음.
日暮途遠(일모도원) :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멀다. 몸은 쇠약한데 뜻은 커 앞으로 할 일이
                    까마득하게 많다.
一葉片舟(일엽편주) : 한 조각 작은 배.
一以貫之(일이관지) : 하나로써 그것을 꿰뚫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변하지 않다.
                    또는 막힘없이 끝까지 밀고 나간다.
一場春夢(일장춘몽) : 한 바탕의 봄 꿈. 인생의 덧없는 부귀영화.
自我陶醉(자아도취) : 자기가 어떤 것에 끄려 취하다시피 함.
赤手空拳(적수공권) : 맨손, 맨주먹.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음.
轉禍爲福(전화위복) : 화가 바뀌어 복이 되다.
節長補短(절장보단) :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탠다. 장점으로 단점을 보완하다.
漸入佳境(점입가경) : 점점 재미있는 경지로 들어감.
縱橫無盡(종횡무진) : 행동이 마음 내키는 대로 자유자재(自由自在)로 하다.
左衝右突(좌충우돌) : 이리저리 닥치는 대로 부딪치다. 아무에게나 함부로 맞딱뜨리다.
衆寡不敵(중과부적) : 많은 것에 적은 것은 적이 되지 못한다.
中傷謀略(중상모략) : 터무니없는 말로 헐뜯거나 남을 해치려고 속임수를 써서 일을 꾸미다.
支離滅裂(지리멸렬) : 이리저리 흩어져 갈피를 잡을 수 없음.
進退維谷(진퇴유곡)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꼼짝할 수 없는 궁지.
借廳借閨(차청차규) : 마루를 빌리다가 방으로 들어오다. 남에게 의지하다가 차차 그 권리를 침범하다.
天高馬肥(천고마비) :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 하늘이 맑고 먹을 것이 풍성한 가을철.
天壤之差(천양지차) : 하늘과 땅 차이. 매우 큰 차이.
千載一遇(천재일우) : 천 년에 한 번 온 기회. 다시 만나기 힘든 좋은 기회.
徹頭徹尾(철두철미) :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다. 전혀 빼놓지 않고 샅샅이.
鐵石肝腸(철석간장) : 철이나 돌 같은 간과 창자. 굳고 단단한 마음.
徹天之恨(철천지한) : 하늘에 사무치는 그지없는 원한.
靑出於藍(청출어람) : 푸른 것은 쪽풀에서 나온다. 스승보다 제자가 뛰어남.
取捨選擇(취사선택) :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려서 골라잡음.
醉生夢死(취생몽사) : 술에 취한 듯 꿈을 꾸는 듯 살아감.
                   아무 의미 없이 한 평생을 흐리멍텅하게 살아가는 것.
層層侍下(층층시하) : 부모 ? 조부모를 다 모시고 사는 처지. 받들어야 할 윗사람이 층층으로 있는 형편.
快刀亂麻(쾌도난마) : 잘 드는 칼로 어지럽게 엉클어진 삼을 벤다. 어지러운 일을 시원스럽게 처리함.
破邪顯正(파사현정) : 그릇된 것을 깨뜨리고 올바르게 바로잡음.
平地突出(평지돌출) : 변변치 못한 집안에서 뛰어난 인물이 나옴.
抱腹絶倒(포복절도) : 배를 안고 넘어진다. 몹시 웃는 것을 형용.
下愚不移(하우불이) : 어리석고 못난 사람의 버릇은 고치지 못함.
鶴首苦待(학수고대) : 학이 목을 길게 늘어뜨리고 기다림. 몹시 기다림.
閑雲野鶴(한운야학) : 한가로운 구름 아래 노니는 들의 학.
                    벼슬과 어지러운 세상을 버리고 강호에 묻혀 사는 사람.
咸興差使(함흥차사) : 심부름꾼이 가서 소식이 없거나 더디 오다. 감감 무소식.
行藏進退(행장진퇴) : 지식인이 시세(時勢)에 응하여 벼슬에 나아가기도 하고 물러설 줄도 아는                      처신의 신중함.
浩然之氣(호연지기) : 자유롭고 넓고 큰 기운. 천지간에 가득찬 정기(精氣). 공명정대하여
                    부끄러움이 없는 도덕적 용기. 자유롭고 느긋한 마음.
胡蝶之夢(호접지몽) : 장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닌 꿈. 만물제일이요, 사물은 절대적 경지에서                      보아야 그 가치를 알 수 있다.
紅爐點雪(홍로점설) : 불로 벌겋게 단 화로에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는다.
                    사욕이나 의욕이 일시에 꺼져 없어짐.
厚顔無恥(후안무치) : 얼굴이  두껍고 부끄러움이 없다.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른다.
後悔莫及(후회막급) : 일이 잘못된 뒤라 아무리 뉘우쳐도 어찌할 수 없다.

(준2급)
街談巷說(가담항설) :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뜬소문'으로 순화. ≒街談巷語(가담항어)?                       街談巷議(가담항의)?街說巷談(가설항담).
感慨無量(감개무량) : 사물에 대한 회포의 느낌이 한이 없음.
改過遷善(개과천선) : 허물을 고치고 착한 데로 옮김.
蓋世之才(개세지재) :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인재.
擧案齊眉(거안제미) : 밥상을 눈 위로 받들어 올린다. 아내가 남편을 지극히 존경함.
堅忍不拔(견인불발) : 굳게 참고 견디어 마음을 빼앗기지 아니함.
徑情直行(경정직행) : 곧이곧대로 행함.
驚天緯地(경천위지) : 온 세상을 다스림. 일을 계획적으로 준비하고 다스림.
鷄鳴狗盜(계명구도) : 닭의 소리를 내고 개 모양을 하여 도적질하다. ① 잔재주를 자랑함.
                    ② 비굴한 꾀로 남을 속이는 천박한 짓.
                    ③ 行世하는 사람이 배워서는 아니 될 천한 기능을 가진 사람.
高架道路(고가도로) : 땅 위에 받침대를 높이 세우고 거기에 설치한 도로.
高官大爵(고관대작) : 지위가 높고 훌륭한 벼슬에 있는 사람.
枯木生花(고목생화) : 마른나무에 꽃이 핀다는 말로 불운한 사람이 행운을 만남을 가리키는 말.
古墳壁畵(고분벽화) : 옛 무덤에 그린 그림.
高溫多濕(고온다습) :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음.
高枕短命(고침단명) : 베개를 높이 베면 오래 살지 못한다는 말.
公卿大夫(공경대부) : 벼슬이 높은 사람.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 오이 밭에서는 신이 벗겨져도 허리를 굽혀 신을 집지 않는다는 뜻.                         남에게 혐의 받을 일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矯角殺牛(교각살우) : 뿔을 바로 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작은 흠을 고치려다가
                    도리어 큰 손해를 입음을 비유하는 말.
口蓋音化(구개음화) : 입천장소리. 끝소리가 닢, 킹 인 형태소가 모음 가나 반모음 가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 구개음 잎, 찧으로 바뀌는 현상.
口碑傳誦(구비전송) :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 욈.
口尙乳臭(구상유취) :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남. 말이나 행동이 아직 유치함.
勸善懲惡(권선징악) : 착한 행동을 권하고 악한 행동을 징계하다.
龜甲文字(귀갑문자) : 거북이 등에 새긴 문자.
歸去來兮(귀거래혜) : 돌아가리라.
僅僅得生(근근득생) : 겨우 삶을 이어감.
僅僅扶持(근근부지) : 겨우 버티어 감.
謹賀新年(근하신년) : 연하장 등에 쓰는 말.
金城湯池(금성탕지) : 매우 튼튼하여 함락하기 어려운 성.
技術提携(기술제휴) : 기업 상호간에 기술을 서로 교류함.
飢者甘食(기자감식) : 배고픈 사람이 음식을 가리지 않고 달게 먹음. 즉 배고프면 모두 맛이 있음.
騎虎之勢(기호지세) : 범을 타고 달리는 형세. 호랑이를 타고 가다 중간에 내리면 잡아먹히듯이,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절박한 형세.
洛陽之價(낙양지가) : 낙양의 종이 값. 훌륭한 글을 다투어 베끼느라고 종이의 수요가 늘어서                     값이 등귀한 것을 말함이니 문장의 장려함을 칭송하는 데 쓰이는 말.
洛陽紙價高(낙양지가고) : 낙양의 종이 값이 오름. 곧 어떤 책이 아주 잘 팔림을 말함.
                        베스트셀러. 洛陽紙貴(낙양지귀).
內政干涉(내정간섭) : 다른 나라의 내정에 간섭하거나 주권을 속박함.
屢代奉祀(누대봉사) : 여러 대의 신주의 제사를 받드는 일.
累卵之勢(누란지세) : 계란을 포개어 놓은 형세, 즉 몹시 위태로운 형세.
                    累卵之危(누란지위). 風前燈火(풍전등화). 百尺竿頭(백척간두).
                    危機一髮(위기일발). 焦眉之急(초미지급).
累卵之危(누란지위) : 알을 쌓은 듯한 위태로움. 쌓아 놓은 알과 같이 매우 위태로운 형세.
大海一滴(대해일적) : 넓고 큰 바다에 물방울 하나라는 뜻으로, 많은 것 가운데 아주 작은 것                      이라는 뜻, =滄海一粟(창해일속).
德不孤必有隣(덕불고필유린) :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으므로 외롭지 않다는 뜻.
讀書百遍義自現(독서백편의자현) : 책을 백 번 읽으면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는 말로,
                               학문을 열심히 탐구하면 뜻한 바를 이룰 수 있음을 가리키는 말.
洞房花燭(동방화촉) : 부인의 방에 촛불이 아름답게 비침. 婚禮.
同病相憐(동병상련) : 같은 병의 환자끼리 서로 가엽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동정하고 도움.
凍氷寒雪(동빙한설) : 얼어붙은 얼음과 차가운 눈.
鍊磨長養(연마장양) : 갈고 닦고 오래도록 준비하여 옴.
莫無可奈(막무가내) : 한번 정한 대로 고집하여 도무지 융통성이 없음.
萬事亨通(만사형통) : 모든 일이 뜻과 같이 잘 됨.
蠻觸之爭(만촉지쟁) : 달팽이 뿔 위에 촉국과 만국의 싸움. 자연계의 규모에 비하여 티끌처럼                      부질없는 것을 말할 때 쓰임. 蝸角之爭(와각지쟁).
茫茫大海(망망대해) : 한없이 넓고 큰 바다.
茫然自失(망연자실) : 멍하니 제정신을 잃은 모양.
盲龜遇木(맹귀우목) : 눈먼 거북이가 다행히 물에 뜬 나무를 붙잡게 되었다. 매우 힘든 행운.
孟母三遷(맹모삼천) :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에게 훌륭한 교육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세 번 이사를 함.
名譽毁損(명예훼손) : 체면, 명예가 손상됨.
毛遂自薦(모수자천) : 모수라는 사람이 자기 자신을 천거했다는 고사에서, 자기가 자신을 추천함.
矛盾(모순) : 창과 방패. 말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음. 自己矛盾(자기모순). 矛盾撞着(모순당착).              自家撞着(자가당착). 先後撞着(선후당착). 二律背反(이율배반).
武陵桃源(무릉도원) : 무릉의 도원. 지상의 낙원으로 인간의 도원경(桃源境).
無不干涉(무불간섭) : 남의 일에 나서서 참견하지 않음이 없다. 자기와는 상관도 없는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참견하지 말라.
某月某日(모월모일) : 어느 달 어느 날.
無依無托(무의무탁) : 몸을 의탁할 곳이 없음. 곧 몹시 빈곤하고 고독한 형편에 이름.
無賃乘車(무임승차) : 차비를 내지 않고 차를 타는 일.
民事訴訟(민사소송) : 개인의 요구에 의하여 재판하는 절차. ↔ 刑事訴訟(형사소송)
盤根錯節(반근착절) : 구부러진 나무뿌리와 울퉁불퉁한 나무의 마디. 세상일에 난관이 많음.
拔本塞源(발본색원) : 폐단의 근원을 찾아서 아주 뽑고 막아 버림.
拔山蓋世(발산개세) : 힘은 산을 뽑고 기개는 세상을 뒤덮을 만한 기상을 표현한 말.
倣古主義(방고주의) : 옛날 한문학을 추종하는 주의.
傍若無人(방약무인) : 곁에 사람이 없는 듯이 제 멋대로 행동함. 眼下無人(안하무인).
方底圓蓋(방저원개) : 네모난 바닥에 둥근 뚜껑.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은 것.
杯中蛇影(배중사영) : 잔속에 비친 뱀의 그림자. 아무 것도 아닌 일에 의심을 품고 지나치게 근심을 하다.
白眉(백미) : 여러 사람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 또는 많은 것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
           群鷄一鶴(군계일학).
伯仲叔季(백중숙계) : 형제의 차례. 伯은 맏이, 仲은 둘째, 叔은 셋째, 季는 막내.
伯仲之間(백중지간) : 실력이 엇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사이. 伯仲之勢(백중지세).
伯仲之勢(백중지세) : 낫고 못함이 거의 없음.
百八煩惱(백팔번뇌) : 백여덟 가지 마음의 괴로움.
封庫罷職(봉고파직) : 부정을 저지른 관리를 파면(罷免)시키고 관고(官庫)를 봉하여 잠그는 일.
不顧廉恥(불고염치) : 염치를 돌아보지 않음.
不搖不屈(불요불굴) : 흔들리지 않고 굽히지도 않음. 七顚八起(칠전팔기).
附和雷同(부화뇌동) : 줏대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 ≒뇌동01(雷同)?뇌동부화?
                   ?부화수행. ?수중축대. ?여진여퇴.
附和雷同(부화뇌동) : 줏대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
崩城之痛(붕성지통) : 남편이 죽은 슬픔. ↔ 叩盆之痛(고분지통)
非夢似夢(비몽사몽) : 꿈인지 생시인지 어렴풋한 상태.
四顧無親(사고무친) : 사방을 둘러보아도 의지할 곳이 없다.
似而非(사이비) : 겉으로는 비슷하나 본질은 완전히 다름.
似而非者(사이비자) :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것 같으나 실지로는 아주 다른 가짜.
蛇足(사족) : 뱀의 발. 쓸데없이 군더더기를 덧붙임. 屋上架屋(옥상가옥).
削奪官職(삭탈관직) : 관직을 뺏고 이름을 깎아 버림.
山紫水明(산자수명) : 산수의 경치가 썩 좋음.
喪家之狗(상가지구) : 초상집의 개. 초라한 모습으로 얻어먹을 것만 찾아다니는 이를 빈정거려 이르는 말.
桑田碧海(상전벽해) : 뽕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됨. 세상일의 변천이 매우 심함.
上濁下不淨(상탁하부정) :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깨끗하지 못한다는 뜻.
                        윗사람이 부패하면 아랫사람도 부패함.
塞翁之馬(새옹지마) : 인생의 행복과 불행은 변하여 예측하기 어려움. 轉禍爲福(전화위복).
生殺與奪(생살여탈) : 살리고 죽이고, 주고 빼앗고를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절대 권력.
雪膚花容(설부화용) :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世界萬邦(세계만방) : 세계 모든 나라.
歲寒松栢(세한송백) : 추운 계절에도 소나무와 잣나무는 잎이 지지 않는다. 변하지 않는 굳은 절개.
送厄迎福(송액영복) : 액을 보내고 복을 맞아들임.
首丘初心(수구초심) :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제 살던 굴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 데서, 근본?                      고향을 잊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誰怨孰尤(수원숙우) :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랴?
守株待兎(수주대토) : 나무그루 밑에서 토끼가 오면 잡으려고 기다린다. 주변성이 없어서
                    변통할 줄을 모르고 옛것을 굳게 지키기만 함.
升斗之利(승두지리) : 한 되 한 말의 이익. 즉 대수롭지 아니한 이익.
乘勝長驅(승승장구) : 싸움에 이긴 여세를 몰아 계속 몰아침.
施行錯誤(시행착오) :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실패를 겪으면서 여러 방법을 시도함.
食少事煩(식소사번) : 먹을 것은 적고 할 일은 많음. 수고는 많이 하나 얻는 것이 적다.
食飮全廢(식음전폐) : 음식을 전혀 먹지 않음.
愼終宜令(신종의령) : 처음뿐 아니라 끝맺음도 마땅히 좋아야 한다.
身體髮膚(신체발부) : 머리끝부터 발끝까지의 몸 전체.
餓死之境(아사지경) : 극도에 이른 가난. 굶어 죽게 된 지경.
謁聖及第(알성급제) : 알성과에 급제함. 또는 그 사람.
殃及池魚(앙급지어) : 성문(城門)에 난 불을 못물로 끄니 그 못의 물고기가 다 죽었다는 뜻으로,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羊頭狗肉(양두구육) : 양의 머리를 내걸어 놓고 실제로는 개고기를 판다는 뜻.
                   선전은 버젓하지만 내실은 따르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梁上君子(양상군자) : 들보위의 군자. 도둑을 점잖게 이르는 말.
焉敢生心(언감생심) : 감히 그런 마음을 품을 수도 없음.
輿論操作(여론조작) : 여론을 자기가 유리한 데로 교묘히 이끎.
燕雁代飛(연안대비) : 제비가 올 때 기러기는 떠남.
蓮花世界(연화세계) : 극락세계.
榮枯盛衰(영고성쇠) : 개인이나 사회의 성하고 쇠함이 서로 뒤바뀌어 나타나는 현상.
梧桐一葉(오동일엽) : 오동 한 잎을 보고 가을이 온 것을 앎. 즉 한 가지 구실을 보면 일의                      전말을 알 수 있다는 말.
五里霧中(오리무중) : 5리에 걸친 안개 속. 무슨 일의 방향이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
烏飛梨落(오비이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우연한 일치로 혐의를 받게 됨을 비유하는 말.
傲霜孤節(오상고절) : 서릿발이 심한 추위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홀로 꼿꼿하다. 충신 또는 국화.
屋上架屋(옥상가옥) : 지붕 위에 또 지붕을 얹음. 일을 불필요하게 이중으로 함.
屋下架屋(옥하가옥) : 독창성 없이 전 시대인의 것을 모방만 함을 경계.
搖之不動(요지부동) : 흔들어도 꼼짝하지 않음.
龍頭蛇尾(용두사미) : 머리는 용인데 꼬리는 뱀. 시초는 굉장하고 훌륭하나 끝이 흐지부지하고                      좋지 않음.
龍味鳳湯(용미봉탕) : 용과 봉황으로 만든 음식. 매우 맛있는 음식.
羽化登仙(우화등선) : 사람이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간다는 뜻.
雲泥之差(운니지차) : 구름과 진흙 차이. 서로의 차이가 매우 크다.
元亨利貞(원형이정) : 하늘의 사덕.
遠禍召福(원화소복) :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僞造紙幣(위조지폐) : 위조한 지폐.
有耶無耶(유야무야) :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로 희미함.
愈出愈怪(유출유괴) : 갈수록 더욱 괴상해짐.
遺臭萬年(유취만년) : 냄새가 만 년에까지 남겨진다. 더러운 이름을 영원히 장래에까지 남김.
閏餘成歲(윤여성세) : 일년 이십사절기의 나머지 시각을 모아 윤달로 하여 한 해를 이루었다.
已發之矢(이발지시) : 이미 떠난 화살. 이미 시작한 일을 중지하기 어려운 형편에 놓인 상태.
泥田鬪狗(이전투구) : 진흙 밭에서 싸우는 개. 곧 남의 눈을 생각하지 않고 자기 이익만을 위한 싸움.
因循姑息(인순고식) : 오랜 습관을 고치지 못하고 눈앞의 편안함만 좇음. 彌縫策(미봉책).
一騎當千(일기당천) : 한 사람이 천을 당해낸다. 무예가 뛰어나다. 또는 기술이 남보다 월등하다.
一魚濁水(일어탁수) : 한 마리의 고기가 온 물을 흐린다는 뜻. 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러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됨.
一言以蔽之(일언이폐지) : 전체의 뜻을 한 마디의 말로 덮어 말함.
立稻先賣(입도선매) : 수확기 이전의 작물을 원상태 그대로 매도하는 것.
自愧之心(자괴지심) :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마음.
自己矛盾(자기모순) : 스스로의 생각이나 주장이 앞뒤가 맞지 아니함. 자기 자신의 정립에
                    대하여 동시에 그것을 폐기, 부정하는 작용이 동일한 주체에 갖추어져                      있는 일을 이른다.?자가당착.
雌雄同體(자웅동체) : 한 개체에 암수 두 생식기를 갖춘 것. ↔ 雌雄異體(자웅이체)
自暴自棄(자포자기) : 스스로 자기를 포기하고 돌아보지 않음.
酌水成禮(작수성례) : 물을 떠 놓고 혼례를 행한다. 형세가 가난하여 혼례를 간략하게 지냄.
切齒腐心(절치부심) : 이를 갈고 속을 썩임. 몹시 분하게 여김.
情狀參酌(정상참작) : 정상에 참작할 만한 이유가 있을 때 그 형을 감하는 일.
中原逐鹿(중원축록) : 중원의 사슴(제위)을 좇음. 곧 천하를 차지하기 위해 다툼. 각축.
指鹿爲馬(지록위마) : 진나라의 조고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해 보고자 황제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고사에서,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르는 것.
池魚之殃(지어지앙) : 연못 속 물고기의 재앙. 곧 화가 엉뚱한 곳에 미침. 殃及池魚(앙급지어).
滄海一粟(창해일속) : 넓은 바다 안의 좁쌀 하나라는 뜻. 광대한 것 중의 아주 하찮은 것을  이르는 말.                      九牛一毛(구우일모). 鳥足之血(조족지혈). 大海一滴(대해일적).
斥邪衛正(척사위정) : 사악한 것을 배척하고 정의를 지키다.
千紫萬紅(천자만홍)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 꽃의 빛깔. 또는 그런 빛깔의 꽃. ≒萬紫千紅(만자천홍).
天眞爛漫(천진난만) : 조금도 꾸밈이 없고 어린애같이 언행이 맑음.
靑蓮居士(청련거사) : 이태백의 호.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 : 사슴을 쫓는 자는 산을 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①명예(名譽)나 욕심(慾心)에 사로잡힌 사람은 도리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危險)을 돌보지 않음의 비유(比喩)
                           ②또는, 큰일을 이루려는 사람은 작은 일에 사로잡히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貪官汚吏(탐관오리) : 욕심이 많아 남의 것을 탐내는 더러운 관리.
破天荒(파천황) : 천지개벽 이전의 상태를 깨뜨림. 지금껏 하지 못한 놀랄 만한 일을 처음으로 함.                  未曾有(미증유). 前代未聞(전대미문).
平沙落雁(평사낙안) : 평탄한 모래사장에 내려앉은 기러기. 단정하고 맵시 있게 쓴 글씨.
風前燈燭(풍전등촉) : ①바람 앞의 촛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험한 처지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말. ≒풍전촉화.
                    ②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풍전촉화. ?풍전등화.
風寒暑濕(풍한서습) : 바람과 추위와 더위와 습기.
彼此一般(피차일반) : 두 편이 서로 같음.
匹馬單騎(필마단기) : 혼자서 한 필의 말을 타고 감.
汗馬之勞(한마지로) : 말을 달려 싸움터에서 힘을 다하여 싸운 공로.
懸河之辨(현하지변) : 흐르는 물과 같은 연설. 매우 유창한 말솜씨.
螢雪之功(형설지공) : 반딧불과 눈빛의 공. 어려운 여건에서 열심히 공부하여 보람 있는 결과를 얻음.
互角之勢(호각지세) : 역량이 서로 비슷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형세.
                    伯仲之間(백중지간). 莫上莫下(막상막하). 難兄難弟(난형난제).
昏定晨省(혼정신성) : 저녁에 부모의 이부자리를 살펴드리고 새벽에 안부를 여쯤.
弘益人間(홍익인간) :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
畵蛇添足(화사첨족) : 뱀을 그리고 발을 더한다. 하지 않아도 될 일을 하거나 필요 이상으로 쓸데없는                        일을 하는 것.
畵虎類狗(화호유구) : 호랑이를 그리려다 개 비슷하게 됨. 소양이 없는 사람이 호걸의 풍도를                      모방하다가 경박한 사람이 됨.
後生可畏(후생가외) : 뒤에 태어난 사람이 두려워할 만함. 靑出於藍(청출어람).
携帶電話(휴대전화) : 소형 무선전화기.
熙熙壤壤(희희양양) : 여러 사람이 빈번히 왕래하는 모양.

(2급)
肝膽相照(간담상조) :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귄다.
間於齊楚(간어제초) : 제나라와 초나라에 사이하다. 약한 사람이 강한 사람의 사이에 끼어 괴로움을 받음.
牽强附會(견강부회) : 말을 억지로 끌어다가 이치에 맞도록 함.
季札掛劍(계찰괘검) : 신의를 중히 여김.
管鮑之交(관포지교) : 친구 사이의 매우 다정하고 허물없는 교제.
膠柱鼓瑟(교주고슬) :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아교로 붙여 놓고 거문고를 탄다.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전혀 없음. 또는 규칙에 얽매여 변통할 줄 모르는 사람.
膠漆之交(교칠지교) : 아교풀로 붙이고 그 위에 옻칠을 하면 서로 떨어지지 않고 벗겨지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서로 떨어지지 않는 두터운 우정을 이르는 말.
                    管鮑之交(관포지교), 水魚之交(수어지교).
琴瑟之樂(금실지락) : 부부사이의 다정하고 화목한 즐거움.
麒麟兒(기린아) : 슬기와 재주가 남달리 뛰어난 젊은이.
南柯之夢(남가지몽) : 남쪽 가지 밑에서 꾼 한 꿈. 일생과 부귀영화가 한날 꿈에 지나지 않는다.
弄璋之喜(농장지희) : 아들을 낳은 기쁨.
陵遲處斬(능지처참) : 대역죄를 범한 경우에 머리, 몸, 팔, 다리를 토막쳐서 죽이는 극형.
多岐亡羊(다기망양) : 달아난 양을 찾다가 여러 갈래 길에 이르러 길을 잃었다. 학문의 길이                      다방면이면 진리를 얻기 어렵다. 또는 방침이 많아 도리어 갈 바를 모른다.
斷末魔(단말마) : 숨이 끊어질 때의 고통.
道聽塗說(도청도설) : 길거리에서 듣고 길거리에서 이야기함. 길거리의 뜬소문.
塗炭之苦(도탄지고) : 진흙이나 숯불에 떨어진 것과 같은 고통. 가혹한 정치로 말미암아 백성                      들이 심한 고통을 겪는 것.
棟梁之材(동량지재) : 한 집안이나 나라를 맡아 다스릴 만한 인재.
凍足放尿(동족방뇨) : 언 발에 오줌 누기. 효력이 잠시 있을 뿐, 곧 없어지는 임시방편적인                       행동을 비유하는 말.
杜門不出(두문불출) : ①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 ②집에서 은거하면서 관직에 나가지                      아니하거나 사회의 일을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勞心焦思(노심초사) : 마음을 수고롭게 하고 생각을 너무 깊게 함. 애쓰면서 속을 태움.
麻中之蓬(마중지봉) : 구부러진 쑥도 삼밭에 나면 자연히 꼿꼿하게 자란다.
                    환경에 따라 악도 선도 고쳐진다.
門前沃畓(문전옥답) : 집 가까이에 있는 기름진 논.
彌縫策(미봉책) : 꿰매어 깁는 계책. 결점이나 실패를 덮어 발각되지 않게 이리 저리 주선하여                   맞추기만 하는 계책.
伴食宰相(반식재상) : 무위도식(無爲徒食)으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대신을 비꼬아 말함.
伯牙絶鉉(백아절현) :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 친한 친구의 죽음을 슬퍼하는 말이며 마음                      으로 통하는 친구.
覆水不收(복수불수) :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지 못한다. 한 번 저지른 일은 다시 어찌 할 수 없음을                     이른다. 또는 다시 어떻게 수습할 수 없을 만큼 일이 그릇됨.
不俱戴天(불구대천) : 한 하늘 아래서는 같이 살 수가 없는 원수라는 뜻으로, 원한(怨恨)이                      깊이 사무친 원수를 이르는 말. 불공대천(不共戴天).
不撤晝夜(불철주야) : 밤낮을 가리지 않음. 조금도 쉴 사이 없이 일에 힘씀.
不偏不黨(불편부당) : 어느 편으로나 치우치지 않는 공평한 태도.
鵬程萬里(붕정만리) : 붕새가 날아갈 길이 만리. 머나먼 노정. 또는 사람의 앞날이 매우 양양하다.
四面楚歌(사면초가) : 사방에서 초나라의 노래가 들리다. 적에게 포위당하여 고립되거나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상태. 또는 자기를 돕는 사람은 하나도 없는 고립된 경우.
纖纖玉手(섬섬옥수) : 가녀리고 가녀린 옥 같은 손이라는 말로 가냘프고 고운 여자의 손.
宋襄之人(송양지인) : 송나라 양공의 어짐. 너무 착하여 쓸데없는 아량을 베푸는 것.
數間茅屋(수간모옥) : 두서너 칸밖에 안되는 띠집. 오두막집.
哀乞伏乞(애걸복걸) : 갖은 수단으로 머리 숙여 빌고 빌다.
魚魯不辨(어로불변) : 魚자와 魯자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 아주 무식함.
廬山眞面目(여산진면목) : 너무도 깊고 그윽하여 그 진면목을 알 수 없음.
吳越同舟(오월동주) :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한 배에 타고 있다. 어려운 상황에서는                       원수라도 협력하게 된다. 전혀 뜻이 다른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됨.
吳下阿蒙(오하아몽) : 오나라 아래에 의지하고 있는 여몽. 학문의 소양도 없는 보잘 것 없는 인물.
龍蛇飛騰(용사비등) : 용과 뱀이 하늘로 날아오르다. 살아 움직이듯 매우 활기찬 글씨.
旭日昇天(욱일승천) : 아침 해가 하늘로 오름. 그와 같은 기상.
韋編三絶(위편삼절) : 책을 많이 읽고 공부를 많이 함. 공자가 주역을 많이 읽어 책의 가죽 끈이                      세 번 끊겼다는 데서 유래.
一網打盡(일망타진) : 한 번의 그물로 몽땅 때려잡는다. 한 무리를 한꺼번에 모두 잡음.
一敗塗地(일패도지) : 한 번 싸우다가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나지 못함.
臨渴掘井(임갈굴정) : 목이 말라서야 우물을 팜. 준비 없이 일을 당하여 허둥지둥하고 애씀.
前覆後戒(전복후계) : 앞 수레가 뒤집힌 자국은 뒷 수레의 좋은 경계가 된다.
                    앞의 실수를 경계로 삼아야 한다.
戰戰兢兢(전전긍긍) : 두려워서 매우 조심함.
捉月於采石(착월어채석) : 이백이 채석강 뱃놀이에서 취하여,
                        물 속에 비친 달그림자를 잡으려다가 익사했다는 이야기.
天方地軸(천방지축) : 하늘 모서리와 땅의 축. 못난 사람이 종작없이 덤벙대는 모습.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날뛰는 모습.
天衣無縫(천의무봉) : 하늘의 선녀들의 옷은 꿰맨 자국이 없다. 시나 글 등이 꾸밈없이 자연스럽게 잘된 것.
焦眉之急(초미지급) : 불이 눈썹에 붙어 있는 상태. 어떤 일이 매우 긴급하거나 다급한 상태.
卓上空論(탁상공론) : 전혀 실현성이 없는 헛된 의논.
風餐露宿(풍찬노숙) : 바람과 이슬을 무릅쓰고 밖에서 먹고 자다. 큰 뜻을 이루려는 사람의 모진 고초.
汗牛充棟(한우충동) :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릴 만하고, 집에 쌓으면 들보에 닿을 만큼 책이 매우 많음.
血液循環(혈액순환) : 피의 순환.
好事多魔(호사다마) : 좋은 일에는 방해되는 것이 많다.
虎視耽耽(호시탐탐) : 호랑이가 먹이를 탐내어 노려보다. 욕망을 채우려고 기회를 노려 정세를                     관망하다.
昊天罔極(호천망극) : 끝없는 하늘과 같이 부모의 은공이 끝이 없음.
換骨奪胎(환골탈태) : 뼈를 바꾸고 태를 벗김. 완전히 새로워짐.
興味津津(흥미진진) : 흥미가 넘칠 만큼 많다.

(1급)
苛斂誅求(가렴주구) :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
渴而穿井(갈이천정) : 목이 말라야 비로소 샘을 판다. 미리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가 일이
                    지나간 뒤에는 아무리 서둘러 봐도 아무 소용이 없다.
                    또는 자기가 급해야 서둘러서 일을 한다.
甘呑苦吐(감탄고토) : 달면 삼키고 쓰면 뱉음.
康衢煙月(강구연월) : 강구는 사통오달의 큰 길로서 사람의 왕래가 많은 거리, 연월은 연기가                      나고 달빛이 비친다.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
                    ? 張三李四, 匹夫匹婦, 善男善女, 樵童汲婦
改善匡正(개선광정) : 좋도록 고치고 올바로 잡음.
去頭截尾(거두절미) : 머리와 꼬리를 잘라 버린다. 요점만 남기고 앞뒤의 사설을 빼버린다.
乾坤一擲(건곤일척) : 하늘이냐 땅이냐를 한 번 던져서 결정한다.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으로                     승부나 성패를 겨룬다. 또는 오직 이 한번에 흥망성쇠가 걸려있는 일.
隔靴搔痒(격화소양) : 신을 신은 위로 가려운 곳을 긁는다. 어떤 일의 핵심을 찌르지 못하고                      겉돌기만 하여 매우 안타까운 상태. 또는, 답답하여 안타까움.
見蚊拔劍(견문발검) : 모기 보고 칼 빼기. 조그만 일에도 성을 내는 소견 좁은 행동을 일컫는 말.
股肱之臣(고굉지신) : 다리와 팔뚝에 비길 만한 신하. 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중신(重臣).
膏梁珍味(고량진미) : 기름진 고기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叩盆之痛(고분지통) : 아내의 죽음을 슬퍼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붕성지통.?붕천지통.
刮目相對(괄목상대) : 눈을 비비고 보며 상대를 대한다. 한동안 못 본 사이에 상대방이 놀랄                      정도로 발전한다.
矯枉過正(교왕과정) : 굽은 것을 바로 잡으려다가, 도를 지나쳐 도리어 중정을 잃음.
                   矯枉過直(교왕과직)
狗尾續貂(구미속초) : 담비의 꼬리가 모자라 개꼬리로 잇는다는 뜻. 훌륭한 것에 보잘 것 없는                      것이 잇닿음.
捲土重來(권토중래) : 흙먼지를 날리면서 거듭 온다. 한번 실패한 사람이 다시 세력을 갖추어 일어남.
錦繡之腸(금수지장) : 비단결같이 고운 마음씨를 이름. 아름다운 마음씨의 所有者.
寄與補裨(기여보비) : 이바지하여 돕고 부족함을 보태어 줌.
杞人之憂(기인지우) : 기나라 사람의 근심. 쓸데없는 군걱정.
南橘北枳(남귤북지) : 강남의 귤을 강북으로 옮기면 탱자로 변한다. 환경에 따라 선하게도 악하게도 된다.
南船北馬(남선북마) : 중국의 남쪽은 강이 많아 배를 타고 다니고, 북쪽은 들이 넓어 말을 타고                      다닌다 함이니, 사방으로 바쁘게 돌아다닌다.
囊中之錐(낭중지추) : 주머니 속의 송곳.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드러나게 된다.                         또는 아무리 감추려 하나 숨겨지지 아니하고 저절로 드러나 善惡을 가리게 된다.
囊中取物(낭중취물) : 주머니 속에 든 것을 꺼내 가지는 것과 같이 아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螳螂拒轍(당랑거철) :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는다. 자기의 힘은 헤아리지 않고 강자에게 함부로 덤비다.
大器晩成(대기만성) : 큰 그릇은 이루어짐이 더딤.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
戴天之讐(대천지수) : 함께 하늘을 이고 살수 없는 원수. 임금이나 어버이에 대한 원수는 하늘을                      함께 하고 살지 않는다.
讀書三昧(독서삼매) : 아무 생각 없이 오직 책읽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상태. 한 곳에 정신을 집중하는 것.
桃園結義(도원결의) : 의형제를 맺음. 중국 촉나라의 유비, 관우, 장비가 일찍이 도원에서
                   형제의 의를 맺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斗酒不辭(두주불사) : 말술도 사양하지 않음. 주량이 매우 큼.
杜撰(두찬) : 저술(著述)에 전거(典據)나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
得?望蜀(득롱망촉) : 욕심은 한이 없음.
磨斧爲針(마부위침)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꾸준히 노력함.
磨斧作針(마부작침)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 積土成山(적토성산). 水滴穿石(수적천석).
滿身瘡痍(만신창이) : 온몸이 상처투성이. 성한데가 없을 만큼 상처투성이가 됨. 또는 사물이 쓸 만한 데가 없을 정도로 결함이 많음.
輓歌(만가) :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노래. 혹은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
亡羊補牢(망양보뢰) : 양을 잃고서 그 우리를 고친다. 실패한 후에 일을 대비한다. 이미 때가 늦었다.
矛盾撞着(모순당착) :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자가당착.
沐浴齋戒(목욕재계) : 몸을 깨끗이 하고 마음을 가다듬어 부정을 피함.
猫項懸鈴(묘항현령) :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실행하지 못할 일을 공연히 의논만 함.
無知蒙昧(무지몽매) : 아는 것이 없이 어리석음.
反目嫉視(반목질시) : 서로 눈을 돌리고 미워하는 것. 눈으로 흘겨보고 노려 보다.
班常嫡庶(반상적서) : 양반과 상민, 적자와 서자.
半信半疑(반신반의) : 반은 믿고 반은 의심하다.
反哺報恩(반포보은) : 자식이 부모가 길러준 은혜에 보답하는 것.
坊坊曲曲(방방곡곡) : 어느 한 군데도 빼놓지 않은 모든 곳. 도처(到處).
杯盤狼藉(배반낭자) :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양. 술을 마시고 한창 난잡하게 노는 모양.
徘徊顧眄(배회고면) : 목적 없이 이리저리 거닐면서 여기저기 기웃거리다.
百年偕老(백년해로) : 부부가 되어 서로 사이좋고 화목하게 함께 늙다.
百尺竿頭(백척간두) : 백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으니 위태로움이 극도에 달하였다.
伯尺竿頭進一步(백척간두진일보) : 백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다달은 것은 이미 할 수 있는  일을 다한                                     것인데 또 한 걸음 나아간다 함은 더욱 노력하여 위로 향한다.
不俱戴天之怨讐(불구대천지원수) : 같은 하늘을 일 수 없는 원수. 不共戴天之怨讐(불공대천지원수)
赴湯蹈火(부탕도화) : 끊는 물과 타는 불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어떠한 괴로움도 사양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粉骨碎身(분골쇄신) :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 있는 힘을 다해 노력하다. 또는 남을                      위하여 수고를 아끼지 않음.
悲憤慷慨(비분강개) : 슬프고 분하여 마음이 북받침.
脾肉之歎(비육지탄) : 넓적다리에 살이 붙음을 탄식함. 자기의 뜻을 펴지 못하고 허송세월하는                      것을 한탄하다.
憑公營私(빙공영사) : 공적인 일을 빌어서 사리사욕을 채움.
獅子吼(사자후) : ① 석가모니의 목소리를 사자의 우는 소리에 비유. 사자가 소리쳐 울 때 작은                     사자는 용기를 내고 기타 일체의 금수는 도망쳐 숨어버리는 것과 같이                      석가모니의 설법을 들을 때 보살은 정진하고 도를 벗어난 악마들은 숨어 버린다.                  ② 사자의 울부짖음. ③ 크게 열변을 토하다.
                ④ 샘이 많은 여자가 남편에게 암팡스럽게 대드는 것.
山戰水戰(산전수전) : 산에서 물에서 싸움. 세상일의 온갖 고난을 겪은 경험.
三昧境(삼매경) :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시키는 경지.
三不朽(삼불휴) : 세운 德, 이룬 功, 교훈이 될 훌륭한 말.
傷弓之鳥(상궁지조) : 활에 상처를 입은 새는 굽은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 한 번 궂은일을
                    당하고 나면 의심하고 두려워하게 된다.
先後撞着(선후당착) : 앞뒤가 서로 맞지 않고 모순됨.
首鼠兩端(수서양단) : 쥐가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인다. 자기의 행동을 결정하지
                    못하고 요리조리 눈치만 살핀다.
水泄不通(수세불통) : 물이 샐 틈이 없다. 단속이 엄하여 비밀이 새어 나가지 못한다.
袖手傍觀(수수방관) : 손을 소매 속에 넣고 곁에서 보고만 있음. 어려운 사람이 옆에 있는데                      조금도 도와주지 않고 그냥 보고만 있음.
水滴穿石(수적천석) : 작은 물방울이라도 끊임없이 떨어지면 결국에는 돌에 구멍을 뚫는다는 뜻.
孰能禦之(숙능어지) : 누가 능히 막겠는가?
菽麥不辨(숙맥불변) : 콩인지 보리인지 분별하지 못한다. 어리석고 못난 사람.
純潔無垢(순결무구) : 마음과 몸이 아주 깨끗하여 조금도 더러운 때가 없다.
伸寃雪恥(신원설치) : 마음에 맺힌 원한을 풀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 버림.
十匙一飯(십시일반) : 열 명이 한 술씩 보태면 한 사람이 먹을 분량이 된다. 여럿이 한 명을                      돕기는 쉽다.
阿鼻叫喚(아비규환) : 참혹한 고통 가운데서 살려달라고 울부짖는 상태를 이르는 말.
暗中摸索(암중모색) : 어둠 속에서 손을 더듬어 찾는다. 어둠 속에서 일을 하다.
                    확실히 알지 못하는 것을 어림짐작하다.
曖昧模糊(애매모호) : 희미하여 분명하지 못함.
語不成說(어불성설) : 말이 말이 되지 않는다. 하는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않다.
諺文風月(언문풍월) : 지난날, 우리 글로 지은 시가 따위를 얕보아 이르던 말.
煙霞痼疾(연하고질) : 산과 물을 매우 사랑하는 것이 마치 고치지 못할 병이 든 것 같음.
寤寐不忘(오매불망) : 자나 깨나 잊지 못하다.
五色玲瓏(오색영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