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폰 7 시리즈 공식 발표

by 모아레 posted Feb 16,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 모바일을 이어가는 차세대 스마트폰 운영체제 '윈도 폰 7 씨리즈'를 공식으로 발표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윈도 폰 7 시리즈는 기존 윈도 모바일과 비교하여 전혀 달라진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습니다.

일단 하드웨어 디자인부터 눈에 띄는데, 전면에는 단 3개의 버튼만 자리하고 있습니다. 뒤로가기, 홈, 검색 키죠. 들려오는 소식에 따르면 윈도폰7은 하드웨어를 엄격하게 제한해서 이 3개의 버튼만 전면에 자리잡을 수 있게 한다는 것 같습니다.

....전 방향키가 있는게 좋은데.. 구시대적 사고인가봐요. ㅠㅠ
윈도 폰 7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작년에 출시한 MP3 플레이어인 'Zune HD'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습니다. 

아이폰이 출시된 이래, 많은 UI와 모바일 운영체제의 업그레이드가 있었지만 대부분 그다지 뛰어난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UI들이 (본인들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실제로도 완전 베낀 수준은 아니지만) 많든 적든 아이폰 OS의 영향을 받았죠.

그러나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여준 윈도폰7의 인터페이스는 전혀 달랐습니다. 어찌보면, 아이폰 OS와 정 반대되는 위치에 서 있는 인터페이스가 바로 윈도폰7의 인터페이스입니다.

아이콘과 심볼 VS 타이포와 라인 

아이폰과 닮은점이라고는 찾아볼수 없으면서도, 아주 화려하고 감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선보여 줬습니다. 이미 Zune HD에서 호평받았던 인터페이스를 한층 확장시킨거죠.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스마트폰 시장 잡아볼려고 제대로 마음먹은것 같습니다. 너무 인터페이스에 치중하여 거의 피쳐폰스러울 정도가 되었네요. (피쳐폰스러운 스마트폰OS의 대명사 심비안보다도 더 피쳐폰스럽습니다)


최근 스마트폰과 피쳐폰의 대세가 뭐냐면, 단연코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SNS입니다. 윈도폰7에서도 그러한 SNS를 강화하였는데, 연락처와 SNS가 연동되어 한눈에 친구나 지인, 중요한 사람의 행동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역시 뛰어난데, 작년에 출시된 Zune HD를 그대로 폰으로 옮겼습니다. 화려하면서 편리한 음악 및 동영상 관리가 가능하며, Zune HD의 음악관리 소프트웨어가 윈도폰 씨리즈 소프트웨어에 통합되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현재는 Zune HD가 미국에만 출시된 관계로 준 소프트웨어 역시 영문 윈도에서만 설치가 가능한데, 이제 인터네셔널 버전이 나오겠지요.


마이크로소프트의 자랑 오피스와의 연동은 물론입니다. 모바일 오피스 역시 예전보다 사용이 편리해지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게임! 얼마나 멋진 게임을 보여줄 것인가는 보여주지 않아서(...) 알수 없었습니다만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임기 '엑스박스'의 온라인 서비스인 '엑스박스 라이브'와 연동이 됩니다. 친구들과 같이 게임을 하거나, 엑스박스 라이브의 도전과제가 연동이 되는 등 게임 면에 있어서 다른 스마트폰과 다른 놀라운 경험을 제공해 줄 거라고 하니 기대해볼만 하겠죠. 그래도 오늘 게임 하나정도 시연해줬으면 했는데 아쉽습니다. 헤일로 모바일 같은거 보여주면 게이머들은 껌뻑 죽을텐데 말이죠..

정말 놀라운 발표였지만, 몇 가지 단점이 될만한 부분이 눈에 띄긴 했습니다. 일단 비쥬얼에 치중하다보니 기존 WM과 비교하여 한 화면에 들어오는 데이터의 양이 많이 부족해보였고, 타이포 위주의 인터페이스는 영문이 아닌 다른나라 언어로 번역될 경우 그 디자인이 많이 헤쳐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위 이미지는 제가 윈도폰7을 가상으로 한글화 해본 이미지입니다. 윈도폰7의 폰트가 Zegoe인데, 이게 Segoe UI 변형한거라 한국에서 Segoe UI에 대응되는 맑은고딕으로 만들어봤습니다.

그 외에도 남아있는 몇 가지 난제들이 있습니다. 

먼저 플래시 지원이 언제쯤 될까인데.. 이것은 스티브 발머가 발표 마지막 질답시간에 플래시 탑재를 반대하지 않는다고 했으니, 어도비에게 달렸습니다. 그리고 기존 WM 씨리즈와 커널부터 달라진 운영체제라, 하위호환 에뮬레이팅이 어느정도까지 가능할까도 관심거리입니다. 

아이폰에서 제한적이라 상대적으로 WM의 단점이었던 멀티테스킹 역시 윈도폰7에선 어느정도 제한적이라 예상되는데, 이것도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가도 문제가 되겠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른 운영체제들도 마찬가지지만, 어플 개발자들이 윈도폰으로 넘어올 메리트는 무엇일까가 큰 이슈입니다. 과연 안드로이드나 아이폰 어플제작자들이 윈도폰을 위한 어플을 얼마나 만들어줄까요?

그 외에도 오늘 자세히 알려지지 않은 많은 점들이 궁금하지만, 일단 오늘 발표로 봐서는 너무나 매력적인 운영체제가 탄생한 것 같습니다. 윈도 폰7을 탑재한 제품은 올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하니, 기대가 크네요.

참, 그리고 더 이상 윈도 모바일이란 명칭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윈도 모바일 7이란 단어는 단 한번도 오늘 발표에서 나오지 않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