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OBG

정보게시판

IT
2009.10.09 15:32

useradd

조회 수 2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www.linux.co.kr/home/lecture/index.php?cateNo=&secNo=&theNo=&leccode=217

 

useradd -D

http://www.linux.co.kr/home2/board/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1359&sca=1&sca2=32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계정사용자를 생성할 수도 있고, 메일사용자를 생성할 수도 있다.
용도에 맞는 원하는 계정을 생성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또한 이 명령어는 "useradd -D"명령어와 반드시 함께 알아두기 바란다. (강추)

계정을 생성하는 관리자용 명령어이므로 일반사용자들은 사용하지 않는 명령어이다.

또한 리눅스에서 useradd와 adduser명령어가 어떻게 다르냐고 질문하시는 분들이 있다.
다음의 사실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바란다.

[root@host3 root]# ls -l /usr/sbin/adduser
lrwxrwxrwx    1 root     root            7  8월 28 02:29 /usr/sbin/adduser -> useradd
[root@host3 root]#

즉, adduser명령어는 useradd명령어로 링크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제로 adduser명령어와 useradd명령어는 완전히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앞으로 이런 문제로 고민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면서...

서버관리자가 해야하는 계정생성 관련업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etc/passwd 파일에 사용자의 계정(ID 및 패스워드)생성
 - /etc/shadow 파일에 계정 패스워드 등록
 - /etc/group파일에 사용자의 그룹생성
 - /home에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생성
 - FTP사용을 위한 FTP사용 환경설정
 - 메일사용을 위한 메일환경설정
 - 사용자의 로그인정보 및 환경설정
 - 사용자의 디렉토리 및 파일 소유권 변경 및 확인
 - DB 사용을 위한 환경설정 및 응용프로그램사용을 위한 환경설정
 - 기타 응용 소프트웨어 사용을 위한 설정등

이외에도 여러가지 작업들이 있지만, 서버관리자는 새로운 계정사용자가 생성이 되면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작업을 해야한다.

이런 업무중에 계정생성에 관련된 작업을 useradd를 이용하여 작업한다.


사용형식

       useradd [-c comment] [-d home_dir]
               [-e expire_date] [-f inactive_time]
               [-g initial_group] [-G group[,...]]
               [-m [-k skeleton_dir] | -M] [-p passwd]
               [-s shell] [-u uid [ -o]] [-n] [-r] login

 

사용예 #1

useradd로 간단히 계정을 생성하는 예를 보았으므로 이번에는 좀 더 다양한 옵션사용의 예를 보도록 하자.

sspark1이라는 계정사용자를 다음과 같이 새로 생성하였다.

[root@host3 root]# useradd -d /home/sspark1 -u 600 -s /bin/csh sspark1
[root@host3 root]#

즉, 홈디렉토리위치를 /home/sspark1로 지정하였고, UID를 600으로 지정하였으며, 기본사용쉘을 C Shell로 지정하였다.
다음은 결과를 확인하 것이다.

[root@host3 root]# grep sspark1 /etc/passwd
sspark1:x:600:600::/home/sspark1:/bin/csh
[root@host3 root]#

[root@host3 root]# grep sspark1 /etc/group
sspark1:x:600:
[root@host3 root]#
[root@host3 root]# ls -al /home/sspark1
합계 32
drwx------    3 sspark1  sspark1      4096  9월 19 11:46 .
drwxr-xr-x    8 root     root         4096  9월 19 11:46 ..
-rw-r--r--    1 sspark1  sspark1        24  9월 19 11:46 .bash_logout
-rw-r--r--    1 sspark1  sspark1       191  9월 19 11:46 .bash_profile
-rw-r--r--    1 sspark1  sspark1       124  9월 19 11:46 .bashrc
-rw-r--r--    1 sspark1  sspark1       854  9월 19 11:46 .emacs
-rw-r--r--    1 sspark1  sspark1       120  9월 19 11:46 .gtkrc
drwxr-xr-x    3 sspark1  sspark1      4096  9월 19 11:46 .kde
[root@host3 root]#

이렇게 옵션을 직접 지정하면 기본설정값에 우선하여 생성이 됨을 알아두기 바란다.


사용예 #2

다음의 예는 좀 더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계정을 생성한 예이다.

[root@host3 root]# useradd -c 박성수 -e 2004-12-12 -d /home/sspark2 -u 601 -s /bin/ksh -p 12345 sspark2
[root@host3 root]#

위에서 사용한 옵션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c 박성수        : 계정사용자의 간단한 설명
 . -e 2004-12-12    : 계정사용 종료일자
 . -d /home/sspark2 : 홈디렉토리 위치
 . -u 601           : UID 601로 지정
 . -s /bin/ksh      : 사용할 기본쉘을 Korn Shell로 지정
 . -p 12345    : 패스워드를 12345로 지정
 . sspark2     : 생성할 계정명

위와 같이 지정한 다음 생성된 내용을 간단히 확인한 것이다.

[root@host3 root]# grep sspark2 /etc/passwd
sspark2:x:601:601:박성수:/home/sspark2:/bin/ksh
[root@host3 root]#
[root@host3 root]# grep sspark2 /etc/shadow
sspark2:12345:12314:0:99999:7::12764:
[root@host3 root]#
[root@host3 root]# grep sspark2 /etc/group
sspark2:x:601:
[root@host3 root]#


이상과 같이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useradd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useradd명령과 함께 "useradd -D"명령도 추가적으로 알아두기 바란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2 과학 힉스 입자 내년 6월까지 찾는다 비지 2011.07.16 336
371 과학 흥미로운 글 - Are you a quack? 외 MoA 2014.04.23 278
370 IT 휘어지는 AMOLED 디스플레이 Naya 2011.09.02 280
369 사설 회의 많았던 SW 개발 회사의 비극 MoA 2013.12.04 342
368 과학 회로도 관련 사이트 MoA 2005.12.12 633
367 IT 홈페이지 방문자 알기? MoA 2007.05.04 811
366 과학 혈액형 편견과 진실 모아레 2009.09.07 339
365 시사 현직 PD가 말하는 '한예슬과 촬영하기' Naya 2011.08.18 297
364 사설 현자의 코드 (전산철학 관련글) MoA 2014.02.24 423
363 과학 현대대수학(Abstract Algebra) 강의노트 MoA 2007.03.05 631
362 교양 헬리캠에 대해 비지 2011.07.17 282
361 투자 헝다그룹 파산과 주가 & fomc OBG 2021.09.23 45
360 IT 핸드폰관련 - 에이징이란? 모아레 2009.11.19 497
359 IT 해킹팀 관련 기사 MoA 2015.09.16 432
358 교양 해외 여행 시 주의해야할 나라별 문화차이 1 너울 2012.12.23 2639
357 과학 해석기하학의 탄생 모아레 2009.04.24 848
356 투자 합병 비율 OBG 2022.06.08 41
355 IT 함수포인터 MoA 2006.12.11 356
354 IT 한컴리눅스 2.2 서버구축하기 Apache php Mysql zeroboard 모아레 2009.09.24 554
353 교양 한글의 역사 모아레 2010.02.21 3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