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Impact factor 계산?

by 모아레 posted Sep 16,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러한 궁금증이 생겼다고 가정해 보자.

· (저널을 읽고 있다가) 지금 이 저널이 포함된 학술지의 중요도 혹은 위상은 어느 정도일까?

· (논문을 쓴후) 어떤 학술지에 투고하면 좀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 관심 분야의 학술지의 동향을 알고 싶네~

 

이런 경우라면 SCI 를 이해하고 Impact factor 를 검색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 저널의 Impact factor 를 조사해 보자.

 

1) 아래 SITE 로 들어간다.

http://admin-apps.isiknowledge.com/JCR/JCR?PointOfEntry=Home&SID=P1DE16kim3giihmF8K7

 

2) View a group of journals by 를 Subject Category 인것을 확인하고 SUBMIT 를 클릭한다.

  

3) category 를 DENTISTRY, ORAL SURGERY & MEDICINE 으로 바꾼다.

 

4) sorted by  'impact factor'  로 바꾸면, Impact factor 순위별로 정렬된다.

 

 

배경 지식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미국의 사설기관인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는 1961년부터 전세계 과학기술분야의 잡지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SCI(Science Citation Index)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되었다. SCI에는 각 논문의 서지정보뿐만 아니라 그 논문이 인용하고 있는 참고문헌의 정보도 함께 구축됨으로써 특정 논문이 발표된 이후에 그 논문을 인용하고 있는 논문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ISI는 이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논문이 발표된 후 인용되는 빈도수를 집계하여 그 논문이 실린 잡지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잣대의 하나로 "Impact Factor"라는 것을 고안하게 되었고, 1975년에 이르러 수년동안 SCI에 축적된 자료를 이용하여 SCI의 한 부분으로서 JCR(Journal Citation Reports)을 발간하게 되었다."
 
Impact Factor 정의
    - 피인용지수
    - 특정 잡지에 실린 한 편의 논문이 어느 특정년도나 특정기간 동안 인용된 빈도수의 척도로서 그 논문이 실린 잡지의 수준을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된다.
 
Annual JCR Impact Factor 계산 
·Impact factor 를 측정하고자 하는 해에 그 특정 잡지의 Impact Factor = A/B
  A: 지난2년간 특정잡지에서 발행된 논문들이 Impact factor 측정하는 해에 다른 논문에 인용된 건수 
  B: 지난2년간 그 특정 잡지에 실린 논문의 수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생각해 보면 이해할 수 있다.
 
를 들면, 2007년의 특정 잡지의 Impact factor 를 알고 싶다면,
2005년과 2006년에 발행된 특정 잡지에 실린 한 논문(평균 논문)이 2007년에 발행된 그 잡지뿐만 아니라 타 잡지의 논문에서 평균적으로 몇 번이나 인용되었는가 하는 것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바로 그 잡지의 2007년도 Impact Factor인 것이다.
 
관심 분야인 치과 저널을 검색해 보았더니 51 잡지가 올라와 있었다. Impact factor의 범위가 3.581~0.500 였고, 이 중 1등은 'PERIODONTOL 2000' 이 랭크되어 있다.
"PERIODONTOL 2000" 잡지가 깔끔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인용지수가 제일 높은 줄은 몰랐다,, 
 
널리 알려진 잡지인 Cell, Nature, Science 보았는데, 무려 각각 29.887, 28.751, 26.372 이나 되었다. 이 들 잡지에 기재되면 대학에서 스스로 불러 준다고 하던데, 빈말은 아닌 듯하다.

 

참고로,

2007년도한국의 SCI게재 논문수가 25,494편으로 180개국 중 전년보다 1단계 상승한 12위로 나타났으며, 한국 SCI 논문이 전세계 총 논문수 중 차지하는 비중은 2.17%로 최근 10년간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SCI 논문 발표수 세계 상위 5개국은 미국, 영국, 중국, 독일, 일본이며, 상위 5개국의 논문수 합(596,544편)은 전세계 총 논문수(1,177,528편) 중 절반이 넘는 비중(50.66%)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