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OBG

정보게시판

조회 수 2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KAIST의 서남표 총장이나 중앙대 박용성 이사장이 대학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쉽지 않지만 장래를 위해 반드시 해볼만한 일이다. 어느 조직이든 변화하지 못하면 도태된다.

먹이사슬의 정점에 있던 공룡이 지구상에서 사라졌고 난공불락의 요새와 같았던 GM이 파산했다. 대학도 변화하지 않으면 그 앞날을 예측할 수 없다.

지난 날 한국 대학들이 스스로 개혁했다면 아픔도 덜하고 경쟁력도 높아졌을 것이다. 그런데 이 눈치 저 눈치 보다 시기를 놓쳐 수술대에 오른 셈이다. 국내 무대에서는 한국 대학들이 도토리 키재기 게임에 몰두했다. 그러면서 정작 세계무대에서 받은 초라한 성적표는 애써 외면했다. 다행스럽게 그나마 최근 조선일보와 QS가 공동으로 실시한 아시아지역 대학평가 순위에는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네이처, 사이언스, 셀등 3대 메이저 저널에 한국에서 발표한 논문은 모두 94편, 비율로는 0.9%로 20위에 그쳤다. 참고로 같은 기간 미국은 7197편을 발표했다. 세계 11위 경제대국 체면에 부끄러운 수치 아닌가?

실험이나 연구에 필요한 첨단장비나 시료, 우수한 대학원생이 있어야 우수한 결과를 낼 수 있다. 그러자면 결국 충분한 연구비가 있어야 한다는 게 결론이다.

그래서 2008년 대학의 위상을 획기적으로 올릴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을 만들겠다며 교육과학기술부가 만든 WCU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그 요체는 대학 위상을 세계수준으로 높이면서 과학기술 수준도 동반 향상시켜 국가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미래를 짊어질 우수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것이다.

국내 대학에서 이공계열은 SCI, SCI-E, 인문사회계열은 SSCI 등재 저널에 주로 논문을 발표한다. 그런데 WCU는 한층 더 강화된 논문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분야별로 인용 정도가 상위 10%에 드는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라는 강력한 시그널을 보낸 것이다. 네이처, 사이언스, 셀이 바로 상위10% 저널의 대표주자에 속한다.

해외 초빙교수도 최고 수준의 인재를 모시라는 것이다. 좋은 논문을 다수 발표했고, 좋은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왕성하게 봉사하고 있어 지명도가 높은 인물이라야 한다는 것이다.

저명인사를 모시면 동료평가에서도 유리해진다. 미국 대학과는 달리 학술대회 논문을 실적으로 인정해주는 곳은 KAIST나 서울대 일부 학과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번에 WCU는 SCOPUS 기준도 채택해 학술대회 논문일지라도 인용이 많이 된 것은 인정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교수가 공직에 오를 때 지나칠 정도로 표절을 문제삼고 있다. WCU는 연구윤리 확립 차원에서 표절이나 허위기재 등을 엄격히 밝혀 공정한 경쟁풍토를 확립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100년 이내에 중국 인구가 5억으로 준다는 예측이 있다. 세계는 급변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고급 일자리는 준다. 미래의 성장동력은 원천기술에서 확보된다. 지금은 우수한 인재양성과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WCU와 같은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때이다.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60585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2 교양 '노처녀가' MBC 스페셜 최초 모큐멘터리 기법 사용 비지 2011.07.16 329
371 시사 '산케이 지국장 기소' 파문.. "대통령 명예 지키려고 국가의 명예 추락시켜" MoA 2014.10.11 281
370 과학 "화성에서 살래요"…지원자 10만 명 넘었다 MoA 2013.08.21 245
369 시사 “韓國의 대북 지원, 긴장 완화 제스처”…NYT MoA 2013.12.21 353
368 시사 “강바닥 파내면 자정능력 상실…한강·낙동강 다 죽는다” Naya 2012.08.10 263
367 사설 “기자님, ‘네티즌 반응’은 왜 쓰나요?” MoA 2014.03.30 280
366 시사 “청와대 지시로 디도스 금전거래 덮었다” Naya 2011.12.18 273
365 투자 [RSNA2022] 루닛의 AI 진단보조 RWD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OBG 2022.12.04 27
364 교양 [문학?]금도끼와 은도끼 모아레 2011.04.17 279
363 투자 [반도체산업 시리즈] 완결편, 반도체 조립-테스트 아웃소싱(OSAT) 회사들 OBG 2024.02.27 36
362 교양 [스압]고래는 칭찬이 없으면 춤출 수 없다.jpg MoA 2011.05.07 405
361 교양 [심리학] 버튼을 누르지 않는 이유 모아레 2011.04.17 423
» 과학 [칼럼]지금은 WCU의 활성화가 필요한 때 모아레 2009.06.30 246
359 IT [펌] 명박이형 전봇대 좀 뽑아줘 - 게임 심의 모아레 2011.01.08 286
358 투자 [플레이위드] 씰m 커뮤니티 OBG 2022.05.27 47
357 투자 '킹스레이드'의 베스파, 전 직원 권고사직 OBG 2022.07.06 20
356 투자 <IPO> 성일하이텍 -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최고 종목 OBG 2022.07.28 21
355 투자 "中 투자시 이건 꼭 알아야"…'헤지펀드 대부' 달리오의 조언 OBG 2021.08.03 28
354 투자 "이건희 회장도 못 사"..삼성도 포기한 꼬마빌딩 17년이 지난 현재 가격 OBG 2022.08.26 21
353 사설 110525_두시의 데이트 윤도현입니다 - 김어준 나가수 품평 비지 2011.05.26 33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위로